[Flutter] 개발 환경 구축 (Windows)

ETER2·2023년 8월 2일
0

Flutter

목록 보기
1/6
post-thumbnail

플러터로 기존 앱을 리팩토링하는 프로젝트가 어쩌다보니 생겨서 개발 환경 구축부터 실제 개발 및 출시까지 함께하는 시리즈.

Flutter는 Google에서 개발하고 관리하는 프레임워크이다. 요약하자면 크로스 플랫폼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프레임 워크이며, Dart 언어를 사용한다.

Flutter 개발 환경 구축

  1. Flutter SDK 페이지에서 SDK 다운로드
    • Beta channel이 아닌 Stable channel중 가장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하였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 7. 13. 에 릴리즈 된 3.10.6 버전을 설치하였음)
    • Windows로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 후 다운로드
  2. 다운로드 된 zip 파일 압축 풀기
    • C:\Program Files\flutter 의 경로로 압축을 해제해주었다. 해당 경로를 통해 환경 변수를 설정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경로 확인을 하는 편이 좋다.
    • 수정: Program Files 안에 풀어주었더니 오류가 발생했다. C:\flutter의 경로로 압축을 푸는 것을 추천한다.
  3. 환경 변수 설정
    • 제어판의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 항목을 찾는다. 시작 메뉴에서 검색하여 찾으면 쉽다.
    • 환경 변수(N) 항목을 클릭하여 환경 변수 편집 창을 열고 사용자 변수(U) 항목에서 Path를 찾아 편집(E)를 클릭한다.
    • 2번 단계에서 압축을 해제한 폴더 내부의 bin 폴더에 대한 경로를 등록해준다.
  4. 커맨드(cmd) 창에서 설치 확인하기
    • 관리자 권한으로 커맨드를 실행한 후 flutter doctor를 입력하여 설치 확인
    • 만약 해당 메세지가 뜨지 않는다면 시스템 변수(S)의 Path에 C:\Windows\System32\WindowsPowerShell\v1.0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

Android Studio 설치

  1. Android Studio 공식 사이트 접속

    • 하단 이미지의 버튼을 클릭하여 .exe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Android Studio 설치를 진행하였다.
    • Android Studio 가이드 참고
  2. Android Studio 최초 실행

    • 최초 실행 시 하단 이미지와 같은 창이 뜬다. 기존에 Android Studio를 사용하였고 설정값이 있다면 불러오는 옵션이다. 최초 설치라면 Do not import settings를 선택하고 넘어가면 된다.
    • 이후에 SDK와 개발 환경 설정에 관한 창이 뜬다.
    • 설치 옵션, UI 테마 선택, 라이센스 동의 단계(두 가지 라이센스 모두 동의)를 거치고 Finish 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완료된다.


  3. Flutter 플러그인 설치

    • 왼쪽의 Plugins를 클릭한 후, 검색창에 Flutter 입력하여 플러그인을 설치한다. 해당 플러그인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선행 설치 되어야 하는 Dart 플러그인 설치도 안내해주니 모두 설치하도록 하자. 설치가 완료된 후, Install 버튼이 Restart IDE 버튼으로 바뀌는데 이 버튼을 클릭해 Android Studio를 재실행해주면 된다.

  1. Flutter Project 생성
    • New Flustter Project 버튼 클릭
    • SDK 경로가 제대로 지정이 되어있나 확인 필요
    • 에러가 발생할 시, 윈도우 파워쉘 관리자 모드에서 git config --global --add safe.directory '*' 명령어 실행해볼 것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8월 2일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자주 올게요 :)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