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미니 프로젝트를 무료로 배포할 수 있는 툴을 찾아보다가 발견한 "Koyeb"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기존에 많은 개발자들이 Heroku의 프리티어를 통해 무료 배포 등을 진행했다고 들었다. 그러나 2022년 11월 Heroku의 서비스가 유료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Heroku를 대체할 플랫폼으로 Koyeb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Koyeb은 배포를 위해 도커 이미지를 통해 배포를 제공하고, 또 깃허브 repository를 선택하여 배포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깃허브를 통해 배포할 경우에는 브랜치에 커밋할 때 CI/CD를 자동으로 제공해주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Koyeb URL : https://app.koyeb.com/
1.먼저 위의 Koyeb URL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 로그인을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대쉬보드가 나올 것이다.
2.GitHub 항목을 클릭하고, 배포를 진행할 Repository를 선택한다.(아마 깃헙 인증이 필요했던 거 같은데 누구나 쉽게 진행할 수 있을거다)
3.이후 서버를 제공할 지역을 선택(빨간색으로 표기한 곳), 그리고 CpuEco 항목의 프리티어를 선택해야지 무료로 배포를 진행할 수 있다. 근데 사양이 그리 좋지가 않아서 너무 무거운 프로젝트는 어려울 거 같다.
4.항목을 선택하고 Next를 누르면 Setting 화면이 나오는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만 작성한다.
나는 Spring boot 프로젝트를 jar로 묶어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configure buillder 항목에 Run Command에 jar 실행 명령어를 입력하고 Override 체크
Configure ports 에 8080으로 지정
5.이후 Deploy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자동으로 Build가 진행된다.
6.배포가 완료되면 Public URL을 선택하여 실제 프로젝트가 제대로 올라갔는지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