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FTP 기능을 구현중에 있다. httpClient 를 사용 중 제대로 공부하지 않았던 ssl의 벽에 막히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ssl을 알기 전에 http와 https의 차이점을 먼저 아는게 순서라고 생각하여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와 HTTPS(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시큐어)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 정의: HTTP는 클라이언트(예: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웹 페이지와 같은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전송하는 데 사용.
- 특징:
2-1. 포트 번호: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
2-2. 보안: HTTP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중간에 가로채일 수 있다.
2-3. 속도: 암호화 과정이 없어 속도가 빠름.
- 정의: HTTPS는 HTTP의 보안 버전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주로 민감한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 특징:
2-1. 포트 번호: 기본적으로 443번 포트를 사용.
2-2. 보안: SSL/TL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인증을 보장.
2-3. 속도: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이 추가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HTTP보다 속도가 느리다.
- 보안성: HTTP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지만, HTTPS는 SSL/TL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 포트 번호: HTTP는 80번 포트를, HTTPS는 443번 포트를 사용한다.
- 데이터 무결성: HTTPS는 데이터가 전송 중에 변조되지 않도록 보장힌다.
- 속도: HTTPS가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HTTP보다 느리다.
- 정의:
SSL(보안 소켓 레이어)와 TLS(전송 계층 보안)는 인터넷 통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 프로토콜이다.
SSL은 인터넷 통신을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초기의 보안 프로토콜로, 넷스케이프(Netscape)에서 개발되어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안전한 통신을 목적으로 사용.
TLS는 SSL의 후속 프로토콜로, SSL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고 더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도입한 프로토콜이다. 현재 인터넷 보안의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한다(?, 난 잘 모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