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v1] 모의고사 - (Javascript)

eeeyooon·2024년 1월 3일
0

모의고사

문제 링크

📩 문제 설명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

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
2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2, 1, 2, 3, 2, 4, 2, 5, 2, 1, 2, 3, 2, 4, 2, 5, ...
3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3, 3, 1, 1, 2, 2, 4, 4, 5, 5, 3, 3, 1, 1, 2, 2, 4, 4, 5, 5, ...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의 정답이 순서대로 들은 배열 answers가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은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시험은 최대 10,000 문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 문제의 정답은 1, 2, 3, 4, 5중 하나입니다.
  •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이 여럿일 경우, return하는 값을 오름차순 정렬해주세요.

입출력 예제

answersreturn
[1,2,3,4,5][1]
[1,3,2,4,2][1,2,3]

입출력 예 #1

  • 수포자 1은 모든 문제를 맞혔습니다.
  • 수포자 2는 모든 문제를 틀렸습니다.
  • 수포자 3은 모든 문제를 틀렸습니다.

따라서 가장 문제를 많이 맞힌 사람은 수포자 1입니다.

입출력 예 #2

  • 모든 사람이 2문제씩을 맞췄습니다.

제출 답안

function solution(answers) {
    let result = [];
    const one = [1,2,3,4,5]
    const two = [2,1,2,3,2,4,2,5]
    const three = [3,3,1,1,2,2,4,4,5,5]
    let oneScore = 0, twoScore = 0, threeScore = 0;
    
    answers.map((answer, i) => {
        if (one[i % one.length] === answer) oneScore += 1;
        if (two[i % two.length] === answer) twoScore += 1;
        if (three[i % three.length] === answer) threeScore += 1;
    })

    let maxScore = Math.max(oneScore, twoScore, threeScore);
    
    if(oneScore === maxScore)
        result.push(1);
    if(twoScore === maxScore)
        result.push(2);
    if(threeScore === maxScore)
        result.push(3);
    
    return result;
    
}

답안 설명

수포자 1,2,3 모두 일정 답안 이후에는 규칙성을 띔으로 그 규칙을 one,two,three로 할당했다. 그리고 그 규칙은 규칙 배열의 길이 단위로 반복되므로 수포자의 맞힌 점수를 구할 때 map을 돌리면서 각각의 인덱스를 가져와 i%[규칙배열].length와 같이 접근하였다. length보다 낮은 숫자일 땐 무조건 그 숫자를 반환하므로 바로 one[1]과 같이 접근이 가능하고 length의 값만큼 나누어준 나머지와 같은 인덱스의 요소를 가져왔다. answers와 수포자들의 답안을 모두 비교한 이후 가장 많이 문제를 맞힌 사람이 누구인지 구하였다. 나머지 연산자를 잘 활용할 수 있는지가 코드를 간결하게 줄이는 핵심 포인트이다.


다른 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answers) {
    var answer = [];
    var a1 = [1, 2, 3, 4, 5];
    var a2 = [2, 1, 2, 3, 2, 4, 2, 5]
    var a3 = [ 3, 3, 1, 1, 2, 2, 4, 4, 5, 5];

    var a1c = answers.filter((a,i)=> a === a1[i%a1.length]).length;
    var a2c = answers.filter((a,i)=> a === a2[i%a2.length]).length;
    var a3c = answers.filter((a,i)=> a === a3[i%a3.length]).length;
    var max = Math.max(a1c,a2c,a3c);

    if (a1c === max) {answer.push(1)};
    if (a2c === max) {answer.push(2)};
    if (a3c === max) {answer.push(3)};


    return answer;

나와 같은 방식인데 map이 아닌 filter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