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 내용
[husky 설치 방법]
ESLint에 포맷터의 기능을 일부 가지고 있지만, 포맷터는 prettier를 사용할 것이다.
yarn add eslint --dev
npx eslint --init
설치 완료! 👇🏻
eslintrc.js
파일의 rules에 "react/react-in-jsx-scope": "off"
추가
rules: {
"react/react-in-jsx-scope": "off",
},
5번 설정을 추가하지 않으면 React를 import하지 않아서 아래 사진과 같은 에러가 뜬다.
Next.js에서는 react가 내장되어 있어 따로 import 해줄 필요가 없으므로 설정 파일에서 off로 바꾼다.
graphQL-codegen에서 받아오는 types 파일처럼 체크가 필요 없는 파일은 .eslintignore
파일을 만들어서 넣어주면 된다.
파일 위치: 프로젝트 폴더/.eslintignore
무시할 파일의 경로만 넣어주면 된다.
ESLint 체크하는 명령어
npx eslint .
yarn add --dev --exact prettier
echo {}> .prettierrc.json
참고 : prettierrc.josn 이라는 설정 파일을 만들어 달라는 리눅스 명령어이다.
echo : 화면에 출력해줘
{} > 파일명: 객체의 내용을 파일명 파일에 저장해줘. 파일이 없으면 새로 만들어준다.
yarn add eslint-config-prettier --dev
'prettier'
이렇게 추가하면 예쁘게 보여주는 건 prettier의 규칙을 따르게 된다.
모두에게 적용되게 하기 위해서 설정하고 있는 프로젝트 상위에서 새 폴더 .vscode
를 생성하고,
settings.json
파일을 만든다.
VSC의 설정을 이 파일에서 하는 것이다.
각자의 설정이 다르더라도, settings.json
에 있는 설정을 따르게 된다. (여러명이 협업하기에 good)
{
"editor.formatOnSave": true,
"editor.defaultFormatter": "esbenp.prettier-vscode"
}
6번을 설정하면 저장할 때마다 formatter가 작동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