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 5. EC2 접속하기

최영준·2023년 12월 7일
0

✅ 생성된 인스턴스 정보 해석하기

  1. 세부 정보
세부 정보에서 눈여겨 봐야 할 부분은 2가지 밖에 없다. 퍼블릭 IPv4 주소와 인스턴스 상태이다. - 퍼블릭 IPv4 주소는 EC2 인스턴스가 생성되면서 부여받은 IP 주소이다. EC2 인스턴스에 접근하려면 이 IP 주소로 접근하면 된다. - 인스턴스 상태는 말그대로 EC2 인스턴스가 실행 중이라는 뜻은 컴퓨터가 켜져있다는 뜻이다. EC2 인스턴스를 중지, 재부팅, 종료도 할 수 있다. 우리가 쓰는 컴퓨터와 아주 유사하다. 재부팅은 말그대로 컴퓨터를 재시작시키는 걸 의미하고, 중지는 컴퓨터를 잠시 꺼놓는 걸 의미한다. 종료는 컴퓨터를 아예 삭제시킨다는 걸 의미한다. EC2 인스턴스를 한 번 종료하면 도중에 취소할 수 없으니 조심해야 한다.



  1. 보안(보안그룹) 인스턴스 생성 시 설정한 보안 그룹에 대한 정보가 나온다.
  1. 네트워크
퍼블릭 IPv4 주소는 생성한 EC2 인스턴스의 IP 주소를 뜻한다.
  1. 스토리지

    인스턴스 생성 시 설정한 스토리지에 대한 정보가 나온다.

  2. 상태 검사

    (잘 안 보는 창이다.)

  3. 모니터링

    EC2 인스턴스에 관련한 여러가지 정보를 볼 수 있는 창이다. AWS를 처음 입문할 때는 자주 볼 일이 없는 창이지만, 나중에 실제 서버를 운영할 때는 자주 보게되는 창이다. EC2 인스턴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지, EC2 인스턴스의 성능을 향상시켜주어야 하는 건 아닌 지 아래 지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1. 태그

    (잘 안 보는 창이다.)

✅ EC2에 접속하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