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포(Deployment)란? 개발자들은 “이제 기능 구현도 끝났고 테스트도 끝났으니 배포하자!"라는 말을 자주 한다. 여기서 배포란 무슨 뜻일까? 배포(Deployment)란 다른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걸 의미한다. 쉽게 얘기해서 우
EC2를 쉽게 얘기하면 하나의 컴퓨터를 의미한다. 서버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필요하다. 내가 가진 컴퓨터에서 서버를 배포해 다른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게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내 컴퓨터로 서버를 배포하면 24시간 동안 컴퓨터를 켜놔야 한다.
AWS EC2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리전(Region)을 먼저 선택해야 한다. 리전(Region)이란 인프라를 지리적으로 나누어 배포한 각각의 데이터 센터를 의미한다. 말이 어렵다. 조금 더 쉽게 풀어서 EC2에 대입해서 생각해보자. 우린 EC2가 컴퓨터를 빌
EC2의 이름을 설정하는 곳이다. 이름을 지을 때는 이 컴퓨터가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알아볼 수 있게 작성한다. ex) instagram-serverUbuntu 22.04 LTS 선택OS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OS(운영체제)란 Mac, Windows 7, Windows
네트워크 설정 칸을 보면 VPC와 Security Groups(보안 그룹)가 보인다. 여기서 VPC라는 개념은 AWS를 입문하는 입장에서는 크게 중요하지 않으니 넘어가자. 나중에 AWS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을 때 VPC를 학습하도록 하자. VPC를 몰라도 서버를 배포하
우리가 쓰고 있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톱 컴퓨터는 전부 하드디스크를 가지고 있다. 하드디스크는 컴퓨터에서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EC2도 하나의 컴퓨터이다보니 여러 파일들을 저장할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 이 저장 공간을 보고 EBS(Elastic Block Storag
세부 정보네트워크스토리지인스턴스 생성 시 설정한 스토리지에 대한 정보가 나온다. 상태 검사(잘 안 보는 창이다.)모니터링EC2 인스턴스에 관련한 여러가지 정보를 볼 수 있는 창이다. AWS를 처음 입문할 때는 자주 볼 일이 없는 창이지만, 나중에 실제 서버를 운영할 때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IP를 할당받는다. 하지만 이렇게 할당받은 IP는 임시적인 IP이다. EC2 인스턴스를 잠깐 중지시켰다가 다시 실행시켜보면 IP가 바뀌어있다. EC2 인스턴스를 중지시켰다가 다시 실행시킬 때마다 IP가 바뀌면 굉장히 불편하다. 그래서 중지시켰
Ubuntu 환경에서 Express 서버를 실행시키려면 Node.js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서 Ubuntu에 우선 Node.js를 설치해보자. https://github.com/nodesource/distributionshttps://git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