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3 블록 이동하기

이재희·2021년 3월 19일
0

문제

로봇개발자 "무지"는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카카오배 로봇경진대회"에 출품할 로봇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준비 중인 로봇은 2 x 1 크기의 로봇으로 "무지"는 "0"과 "1"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지도에서 2 x 1 크기인 로봇을 움직여 (N, N) 위치까지 이동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을 하려고 합니다. 로봇이 이동하는 지도는 가장 왼쪽, 상단의 좌표를 (1, 1)로 하며 지도 내에 표시된 숫자 "0"은 빈칸을 "1"은 벽을 나타냅니다. 로봇은 벽이 있는 칸 또는 지도 밖으로는 이동할 수 없습니다. 로봇은 처음에 아래 그림과 같이 좌표 (1, 1) 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놓여있는 상태로 시작하며, 앞뒤 구분없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로봇이 움직일 때는 현재 놓여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에서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한다면 (1, 2), (1, 3) 두 칸을 차지하게 되며, 아래로 이동한다면 (2, 1), (2, 2) 두 칸을 차지하게 됩니다. 로봇이 차지하는 두 칸 중 어느 한 칸이라도 (N, N) 위치에 도착하면 됩니다.

로봇은 다음과 같이 조건에 따라 회전이 가능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로봇은 90도씩 회전할 수 있습니다. 단, 로봇이 차지하는 두 칸 중, 어느 칸이든 축이 될 수 있지만, 회전하는 방향(축이 되는 칸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에 있는 칸)에는 벽이 없어야 합니다. 로봇이 한 칸 이동하거나 90도 회전하는 데는 걸리는 시간은 정확히 1초 입니다.

"0"과 "1"로 이루어진 지도인 board가 주어질 때, 로봇이 (N, N)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board의 한 변의 길이는 5 이상 100 이하입니다.
  • board의 원소는 0 또는 1입니다.
  • 로봇이 처음에 놓여 있는 칸 (1, 1), (1, 2)는 항상 0으로 주어집니다.
  • 로봇이 항상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boardresult
[[0, 0, 0, 1, 1],[0, 0, 0, 1, 0],[0, 1, 0, 1, 1],[1, 1, 0, 0, 1],[0, 0, 0, 0, 0]]7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문제에 주어진 예시와 같습니다.
로봇이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후, (1, 3) 칸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합니다. 다시, 아래쪽으로 3칸 이동하면 로봇은 (4, 3), (5, 3) 두 칸을 차지하게 됩니다. 이제 (5, 3)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후,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하면 (N, N)에 도착합니다. 따라서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최소 7초가 걸립니다.

풀이

BFS로 탐색하면서 해를 구한다.

코드

def solution(board):
    N = len(board)
    queue = [((0,0,0,1),0)]
    visited = set([(0,0,0,1)])
    goal = [(N-1,N-2,N-1,N-1),(N-2,N-1,N-1,N-1)]
    while queue:
        curr,moves = queue.pop(0)
        if curr in goal:
            return moves
        for next in reachable(board,curr,N):
            if next not in visited:
                queue.append((next,moves+1))
                visited.add(next)
    
def reachable(b,c,N):
    r = set()
    #h
    if c[0] == c[2]:
        #하, 회전
        if c[0]+1 < N and b[c[0]+1][c[1]] == 0 and b[c[2]+1][c[3]] == 0:
            r.add((c[0]+1,c[1],c[2]+1,c[3]))
            r.add((c[0],c[1],c[0]+1,c[1]))
            r.add((c[2],c[3],c[2]+1,c[3]))
        #우
        if c[3]+1 < N and b[c[0]][c[3]+1] == 0:
            r.add((c[2],c[3],c[2],c[3]+1))
        #좌
        if c[1]-1 > -1 and b[c[0]][c[1]-1] == 0:
            r.add((c[0],c[1]-1,c[0],c[1]))
        #상, 회전
        if c[0]-1 > -1 and b[c[0]-1][c[1]] == 0 and b[c[0]-1][c[3]] == 0:
            r.add((c[0]-1,c[1],c[0]-1,c[3]))
            r.add((c[0]-1,c[1],c[0],c[1]))
            r.add((c[2]-1,c[3],c[2],c[3]))
            
        
    #v
    elif c[1] == c[3]:
        #좌, 회전
        if c[1]+1 < N and b[c[0]][c[1]+1] == 0 and b[c[2]][c[3]+1] == 0:
            r.add((c[0],c[1]+1,c[2],c[3]+1))
            r.add((c[2],c[3],c[2],c[3]+1))
            r.add((c[0],c[1],c[0],c[1]+1))
        #하
        if c[2]+1 < N and b[c[2]+1][c[3]] == 0:
            r.add((c[2],c[3],c[2]+1,c[3]))
        #우, 회전
        if c[1]-1 > -1 and b[c[0]][c[1]-1] ==0 and b[c[2]][c[3]-1] == 0:
            r.add((c[0],c[1]-1,c[0],c[1]))
            r.add((c[2],c[3]-1,c[2],c[3]))
            r.add((c[0],c[1]-1,c[2],c[3]-1))
        #상
        if c[0]-1 > -1 and b[c[0]-1][c[1]] == 0:
            r.add((c[0]-1,c[1],c[0],c[1]))
    return r
profile
오늘부터 열심히 산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