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목)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클라우드 업체가 “어디까지” 해주는가에 다라 각 서비스는 다음 세 카테고리에 속하게 된다.
‘X’ as a Service (Infrastructure, Platform, Software ∈ X)

IaaS(이아스, 아이아스)
클라우드를 이용해 서버용 인프라, 즉 가상화된 서버 컴퓨터를 대여해주는 서비스
- 단순 호스팅과 크게 다를 바 없이 이용자가 대여받은 서버에 보안, 네트워크 등 각종 설정부터 소프트웨어 설치, 서비스 실행 및 관리까지 직접 수행
- 이용자의 자유도가 높은 만큼 손이 많이 가는 서비스
⇒ 사용자: 각종 서버 설정부터 서비스 운영까지 직접 수행하는 운영자
PaaS(파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서비스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 운영체제, 개발 환경 등을 자동으로 설치하고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 인프라 구축과 유지 비용 등을 고려할 필요 없이 소프트웨어만 개발하면 손쉽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배포 가능
⇒ 사용자: 인프라와 플랫폼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개발자
SaaS(싸스)
소프트웨어가 이미 완성된 형태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 이용자가 SaaS를 이용하기 위해 따로 인프라나 개발 환경을 구축할 필요 없이 사용료만 지불하면 이미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사용 가능
- IaaS, PaaS와 달리 초기 구축 비용 감축 가능
- 제공 업체가 만들어 놓은 서비스를 그대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기능이 비용에 포함되어 있기도 함
⇒ 사용자: 클라우드 서비스 소비자
🌤️클라우드 장단점
장점
- 유연한 이용, 안정적 서비스(다양한 region 제공), 다중화와 스케일링
- Pay-as-you-go (리소스를 사용한 만큼만 비용 청구) → TCO(total cost of ownership) 절감
- 다양한 도구 제공, 풍부한 문서 및 참고 자료
단점
- 생각보다 만만치 않은 비용 (제대로 리소스를 사용하지 못해도 리소스가 이용되고 있으면 과금)
- 활용법을 익혀야 함 (익숙하지 않으면 다소 복잡하고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음)
🟧AWS (Amazon Web Services)
여러 가지 응용의 실현에 필요한 infrastructure 를 on-demand 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