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크기의 땅이 있고, 땅은 1×1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땅에는 나라가 하나씩 존재하며, r행 c열에 있는 나라에는 A[r][c]명이 살고 있다. 인접한 나라 사이에는 국경선이 존재한다. 모든 나라는 1×1 크기이기 때문에, 모든 국경선은 정사각형 형태이다.
오늘부터 인구 이동이 시작되는 날이다.
인구 이동은 하루 동안 다음과 같이 진행되고, 더 이상 아래 방법에 의해 인구 이동이 없을 때까지 지속된다.
각 나라의 인구수가 주어졌을 때, 인구 이동이 며칠 동안 발생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N, L, R이 주어진다. (1 ≤ N ≤ 50, 1 ≤ L ≤ R ≤ 1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각 나라의 인구수가 주어진다. r행 c열에 주어지는 정수는 A[r][c]의 값이다. (0 ≤ A[r][c] ≤ 100)
인구 이동이 발생하는 일수가 2,000번 보다 작거나 같은 입력만 주어진다.
인구 이동이 며칠 동안 발생하는지 첫째 줄에 출력한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L, R = map(int, input().split())
maps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dy = [-1, 0, 1, 0]
dx = [0, -1, 0, 1]
def BFS(a, b):
q = deque()
union = []
q.append([a, b])
union.append([a, b])
visited[a][b] = True
while q:
y, x = q.popleft()
for i in range(4):
ny = y + dy[i]
nx = x + dx[i]
if ny < 0 or ny >= N or nx < 0 or nx >= N:
continue
if 0 <= ny < N and 0 <= nx < N and not visited[ny][nx]:
if L <= abs(maps[ny][nx] - maps[y][x]) <= R:
visited[ny][nx] = True
q.append([ny, nx])
union.append([ny, nx])
return union
answer = 0
while True:
flag = False
visited = [[False] * N for _ in range(N)]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not visited[i][j]:
u = BFS(i, j)
if len(u) > 1: # 연합이 존재한다면 인구 이동이 발생
flag = True
tot = 0 # 연합의 전체 인구 수
for uy, ux in u:
tot += maps[uy][ux]
average = int(tot / len(u))
for uy, ux in u:
maps[uy][ux] = average
if flag:
answer += 1
else:
print(answer)
break
알고리즘 유형 : BFS/DFS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 인구 이동
모범 답안 - 인구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