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케이스에 나온 그래프 정보를 위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개선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소스코드에서 변형K번째 수를 구하려면 K 이하의 모든 최단 경로를 알아야하므로 a → b로 가는 배열의 크기를 K × (N+1) 크기의 2차원 리스트를 사용하면 된다.💡소요시간 :
예제 입력3의 테스트케이스에서 반례가 발생최대 1,000,000,000이므로 문자열을 반복해서 최대한 맞춰준다.이 때, 정수형에 ×10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열에 ×10을 처리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