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 프록시

열공하는바보·2023년 8월 2일
0

CORS 정책이 필요한 이유
브라우저에서 기본적으로 API를 요청할 때에, 브라우저의 현재 주소와 API의 주소의 도메인이 일치해야만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만약 다른 도메인에서 API를 요청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려면 CORS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여러분 또한 이전 섹션에서 배워 기억하고 계실 것입니다.
개발할 당시에는 이 현상이 굉장히 귀찮은 일로 느껴질 수 있겠지만, 실제로 개발한 서비스 및 프로젝트가 모든 출처의 접근을 허락한다면 이는 후에 큰 문제로 야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분들은 모든 도메인을 허용해서는 안 되고, 특정 도메인을 허용하도록 구현해야 합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백엔드 개발자에게 프론트엔드 개발 서버 도메인을 허용해 달라고 요청을 해야 하고, 백엔드 개발자는 응답 헤더에 필요한 값들을 담아서 전달을 해줘야 합니다. 서버에서 적절한 응답 헤더를 받지 못하면 브라우저에서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xy
그러나 위의 정석적인 과정 없이 React 라이브러리, 혹은 Webpack Dev Server에서 제공하는 proxy 기능을 사용하면 CORS 정책을 우회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별도의 응답 헤더를 받을 필요 없이 브라우저는 React 앱으로 데이터를 요청하고, 해당 요청을 백엔드로 전달하게 됩니다. 여기서 React 앱이 서버로부터 받은 응답 데이터를 다시 브라우저로 전달하는 방법을 쓰기 때문에 브라우저는 CORS 정책을 위반했는지 모르게 됩니다. 브라우저를 proxy 기능을 통해 속이는 것입니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