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는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여 여러 데이터를 한 변수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 중 리스트에 관해서 알아봅니다.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변경 불가능(immutable)한 순서가 있는 컬렉션입니다.
딕셔너리 파이썬의 딕셔너리는 키-값(key-value)쌍을 저장하는 변경 가능한(mutable) 컬렉션입니다. 키는 유일해야하며 값은 중복되어도 됩니다. 키-값 에는 문자형, 숫자형 모두 가능합니다. 키는 절대 변경불가능함으로 변경이 불가능한 튜플은 가능하고 변경가능한
1.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절차지향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일련의 절차 또는 단계에 따라 코드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단계나 절차들은 주로 함수나 서브루틴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함수는 특정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주로 '입력 - 처리 - 출력'의 순차적인 절차를 따르며, 코드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실행하면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동작...
조건문 조건문은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문입니다. 이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하게 합니다. > ## 1. if 문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입니다. 특정 조건이 참(True)일 경우에만 해당 블록 내의 코드가 실
반복문은 동일한 작업을 여러 번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구조입니다.
random 모듈을 사용해서 무작위 수를 출력하거나 선택하는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코딩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사용하게 되고 한번도 안쓰는 사람도 찾기 힘들다는 사용자 정의 함수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1. 스코프(scope) 파이썬에서 변수의 범위(scope)는 해당 변수가 프로그램 내에서 참조되고 변경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즉, 변수를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어디까지 인지를 의미합니다. 파이썬의 변수 범위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됩니다.
세트(set)는 중복되지 않는 항목들의 컬렉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