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변경 불가능(immutable)한 순서가 있는 컬렉션입니다.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튜플안에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리스트 안의 값은 수정 가능합니다. 수정은 불가능 하지만 추가는 가능합니다.
1. 생성
튜플은 괄호 ()를 사용하여 생성하고, 항목들은 쉼표 ,로 구분됩니다.
값을 1개만 입력하는 경우에는 ,를 써줘야합니다.
괄호없이 입력해주거나 튜플안에 튜플을 넣어도 가능합니다.
튜플안에 튜플뿐만 아니라 리스트도 가능합니다. 튜플속에 있는 리스트는 변경이 가능합니다.
※ 수정불가
튜플속의 리스트와 같은 값은 수정 가능하지만, 튜플 자체의 값은 수정 불가능합니다.
Sort와 Sorted 차이
sort()는 in-place 연산을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정렬한 후 결과값을 자동저장합니다. 하지만 튜플은 수정이 불가능한 특성이 있어서 sort()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sorted는 in-place 연산이 아님으로 정렬한 결과값만 보여주고 저장하지 않아서 튜플에 사용 가능합니다. sorted()의 반환형은 list라 출력값은 list 형태입니다.
2. 인덱싱
3. 슬라이싱 :
4. 연산
5. 언패킹과 IN 연산자
언패킹
IN 연산자
포함여부를 알려주는 연산자로 결과값은 bool 형식(True, False)로 출력해줍니다.
6. 리스트 튜플 변환
리스트를 튜플로, 튜플을 리스트로 변환 가능합니다. 리스트를 튜플로 변환할때는 tuple() 함수를 사용합니다. 튜플을 리스트로 변환할때는 list()함수를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