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로그인 한 유저만 페이지 및 데이터를 표시하게 끔 해보자.이를 위해서는 권한을 체크하는 로직이 필요한데, rest framework 에서는 permissions 이라는 패키지를 따로 제공하고 있다.권한 설정을 하고 싶은 View 파일로 들어가서 아래와
이번 포스팅에서는 Django 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해본다.Django 는 2005년부터 서비스 되고 있는 python 언어기반 오픈 소스 웹 프레임워크다.주로 backend 프레임워크로 알려져있지만 frontend 부분도 통합하여 Fullstack 프레임워
이번 포스팅에서는 로그인 기능을 만들기 위한 전 단계인 회원가입을 API로 만들어보도록 한다.처음으로 봐야할 부분은 Model 이다.velog_series_01/dashboard/dashboard_core/models.py 파일을 열어보자.기본적으로 유저정보에 대해 d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이언트로부터 Request 받은 데이터를 Model과 연계하기 전에 검증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려 한다.당연한 얘기지만, 클라이언트 단에서 어느정도 폼 데이터 검증을 거쳐서 서버로 전달되긴 하겠지만 100%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서 원하는 형식으로
유저에 대한 CRUD API를 계속해서 작성해보도록 하자.이번에는 유저등록 부분이다. POST API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자!저번 포스팅에서 이미 모든 CRUD API 가 포함된 ModelViewSet 클래스를 상속하여 View를 생성하기 때문에 POST API 테스트
이번 포스팅부터는 본격적으로 유저에 대해 CRUD API 작성을 작성해보도록 하자.처음은 유저조회 부분이다. 즉, GET API 작성을 해보자.일단 PostUser Model에 대한 Serializer 를 개발한다.velog_series_01/dashboard/dash
오늘 포스팅은, 직전 포스팅에 이어서 유저 등록 가상 폼을 작성하여 PostUser View와 연계해보도록 하겠다.velog_series_01/dashboard/dashboard_core 아래에 forms.py 파일을 신규 생성한다.그리고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가상
유저 등록 화면 만들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저 등록하는 부분을 만들어 보자. 일단 유저가 서버에 로그인을 하고, 데이터 처리를 요청할 때 있어서 서버는 그 유저가 로그인되어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이번 시간에 JWT방식을 도입해서 만들어 보기로 한다
저번 시간에는 Post Table에 대한 View를 만들어서, 누구라도 data를 조회할 수 있도록 유저의 Request로 온 URL로 연결시켰다.그러나, 서버를 가동시킨 후에 우리가 설정했던 URL http://localhost:8000/posts/ 로
본 포스팅에서는, django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해, 기본적인 개발환경구축을 해보기로 한다. 필자는 Mac OS BigSur (Version 11.5.2) 운영체제 기준으로 진행하고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시작하기 전에... 본 시리즈는 django 프레임워크와 SPA 프레임워크로 여러가지 실제로 쓰이고 있는 가벼운 웹 애플리케이션을 fullstack으로 개발해봄으로써, django를 메인으로 하는 개발자로 성장하는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기획되었다. 본 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