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상태관리를 할 때 useState를 사용했었는데, useReducer를 통해서도 상태관리를 할 수 있고 상태 업데이트 로직을 컴포넌트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나중에 context API나 Redux 사용 시 업데이트 로직을 전달해줄 수 있을것 같다
이번에는 useMemo, useCallback에 대해서 배웠다.useMemo는 "memoized" 를 의미하는데 이는, 이전에 계산 한 값을 재사용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useMemo의 첫번째 파라미터에는 어떻게 연산할지 정의하는 함수를 넣어주면 되고 두번째 파라미
useRef(useFadeIn) useRef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ref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src/useFadeIn.js useFadeIn 이란 커스텀 hooks를 만들어봤다. 이 함수를 사용해 ref를 이용하여 해당 요소의 transition, opacit
이제 TypeScript의 기본 사용방법을 익히고 실제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같이 써보려고 한다.위와 같은 명령어로 create-react-app에서 TypeScript를 같이 도입해 구축한다.props로 받는 객체의 type을 설정해줄 수 있다. 그 type은 type
TypeScript 시작!(내가 TypeScript를 배우는 이유) 오늘부터 리액트 프로젝트에서 타입스크립트 사용하기 velopert 님 블로그를 참고하여 TypeScript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서 올릴 예정이다. TypeScript는 javascript of
드디어 오늘부터 hooks를 배우고 알게 된 내용들을 하나씩 기록해보려 한다. 여기에 기록될 내용들은 노마드코더의 실전형 리액트 Hooks 강의와 React Hooks 공식문서를 바탕으로 나만의 Hooks를 만들어보며 배우게 된 내용들을 적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