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투브에서 여러 개발 영상을 보다가 JSDoc를 이용한 타입을 체크하는 방식이 있어서 블로깅을 합니다. 맨 처음에 타입스크립트처럼 타입지정을 해서 오류를 체크하는 방식인가 했더니, JSDoc에서 파라미터의 타입을 지정해주어 @ts-check를 통해 타입 오류에 대한 체
함수에 인자를 하나식 적용해나가다가 필요한 지가 모두 채워지면 함수 본체를 실행하는 기법.다중 인수를 갖는 함수를 단일 함수를 갖는 함수들의 함수열로 바꾸는 것.JS에서는 커링이 내장되어 있지 않지만, 일급함수가 지원되고 평가 시점을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커링을 직접
성공적인 프로그래밍을 위해 부수효과를 미워하고 조합성을 강조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부수효과를 미워한다 -> 순수함수를 만든다조합성을 강조한다 -> 모듈화 수준을 높인다.순수함수 -> 오류를 줄이고 안전성을 높임모듈화 수준이 높다 -> 생산성 증가
var는 함수 레벨 스코프이고 let, const는 블럭 레벨 스코프입니다.var, let은 변수 선언시 초기 값을 할당x const는 반드시 초기값 할당Ovar는 재선언, 재할당 가능, let은 재할당만 가능. const 둘다 불가능var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 전에
이 3개에 대해서 비교하여 정리한 사이트 참고개발상식 Ajax와 Axios 그리고 fetch(https://velog.io/@kysung95/%EA%B0%9C%EB%B0%9C%EC%83%81%EC%8B%9D-Ajax%EC%99%80-Axios-%EA%B7%B8
setTimeout : 일정시간후에 함수 실행전달인자: 실행할 콜백함수, 콜백 함수 실행전 기다려야 할 시간return value: 임의의 타이머 idclearInterval : 반복실행 중인 타이머 종료인자: timer id반환값: 없음
문제를 동일한 구조의 더 작은 문제로 나눌 수 있고, 이 작은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전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재귀를 사용한 코드는 대부분의 경우 더욱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움.잘게 쪼게어 사고하기재귀적 사고함수 자신의 재귀적 호출탈출 조건실행 중인 함수의 실행 절차에 대
JavaScript Object Notation데이터 교환을 위해 만들어진 객체 형태의 포맷.속성과 값이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객체를 전달하기 위해인간이 읽을 수 잇는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주로 인터넷에서 자료를 주고 받을 때 많이 쓰임객체의 경우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