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BackEnd 개발자로 전환한 이후 첫 면접을 보고 느낀 생각입니다...이 글을 보신다면 독자인 당신은 과연 제대로 흔히 쓰는 JPA, JAVA, Spring Boot, Server에 대해 무엇을 이해하고 있는지 한번 회고하시길 바랍니다.어노테이션의 동작 원리,
필자는 마지막 프로젝트에서 문제(게시글)에 대한 조회수와 좋아요 수를 0으로 Default 값을 넣어줄 때 FrontEnd에서 Data를 넘겨 줄때 애초에 0으로 할당해서 넘겨주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하지만 이 방식은 실수로 Data를 넘겨주지 않은 NullPointE
이번 글은 막상 JPA를 통해 상관관계를 정의하려고 할 때 바로 바로 생각이 안나서 정리하는 글입니다 ㅎㅎ DataBase에서는 우리는 Foreign key를 통해서 테이블 관의 연관 관계를 정의 합니다. 그렇다면 JPA에서는 어떻게 정의하고 동작하는지 짚어보고 갑시다
MySQL에서 Join을 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습니다. 외래키가 설정 되어있다면, join과 on을 사용해서 쿼리를 통해 조회가 가능했습니다.JPA에서는 과연 Join을 어떻게 하는지 봅시다!!!JPA 공부를 오래해서 그런지...마지막 프로젝트를 대부분 Query 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