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랑 같이 멘토링 진행하고 있는 팀원이 개인 깃허브에서 작업한 리퍼지토리를 우리 팀 계정에 PR을 보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했었고, 우리 둘다 그때는 방법을 몰랐기 때문에 그냥 나중에 알아보기로 하고 넘겼었다. 그래서 오늘 잠깐 시간 내서 시도해봤다. 처음에 이야기했던 건 아무래도 멘토님이 PR 보낸 걸 확인하고 리뷰해주시기에는 팀 계정에서 진행하는 게 편할 것 같아 진행하려고 했었다.
일단 내가 선택한 방법은.. 팀 계정과 내 개인 깃허브에 따로 리퍼지토리를 만들고 그걸 remote로 각자 origin과 upstream으로 등록한 뒤, 로컬에서 수정사항이 발생하면 각자 push 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처음에 main에서 README 파일 때문에 충돌이 일어나서 약간 헤매기는 했는데, 다시 브랜치를 생성한 다음에 PR보냈을 때는 정상적으로 되는 걸 확인했다.
다만, upstream으로 PR을 보내도 내 깃허브에 잔디가 심어지기는 하기 때문에 내 개인 깃허브(origin)에는 굳이 PR을 보내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다. 이 부분은 내일 팀원이랑 좀 더 이야기해봐야 할 것 같다.
어차피 개인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선택사항이긴 하지만 각자 의견을 들어보고 자기의 생각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다는 건 개인적으로 정말 가성비가 좋은 커뮤니케이션이라 생각한다.
깃허브를 해결하고 난 뒤, 새벽에 TodoList를 리액트로 구현해보기 위해서 하나하나 해결할 때마다 노션에 정리하면서 진행했다. 중간에 오류가 나거나 아니면 나중에 똑같이 리액트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참고해서 도움받으려고 하나하나 기록해봤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tailwindCSS를 사용해보기 위해서 세팅해보고 실제로 일부분을 구현해보면서 사용해봤다. 따로 css파일을 두지 않아도 되고 class에서 바로 직관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나름 편리한 것 같다. 하지만 아직 문법이 익숙하지 않고 중첩되는 부분에서는 어떻게 정의하는 게 좋을지 아직 감이 안 잡힌다. 그리고 타입스크립트도 설정했다. 아직 직접 사용해보지는 않았다.
TodoList를 완전 간단하게 구현한다면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지만 일단은 내가 기존에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한 TodoList 정도는 리액트와 타입스크립트로 구현해보려고 한다.
오늘은 중첩 객체와 배열을 관리하는 부분, 그리고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가 있지만 내가 개인적으로 강의에서는 Redux를 지양하고 있고, Redux가 아니여도 useReducer를 이용해서 상태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리액트는 객체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변경하지 못하고 새로운 객체를 만들어서 변경해야 되기 때문에 push, pop등의 메서드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지만, Immer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마치 push,pop을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할 수 있고 컴포넌트를 재사용하기 위해서 Wrapper를 사용한다는 것도 배웠다.
이제 어느 정도 ToDoList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은 모두 배웠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내일부터는 직접 ToDoList를 리액트와 타입스크립트를 이용해서 구현해보려고 한다.
멘토링 날 전까지는 최대한 전부 구현해내고 싶었지만 이번주는 컨디션이 좀 안 좋아서 생각보다 많이 진행하지 못했다.
💡 4L (이론 공부)
- Liked (좋았던 점)
- 오늘도 역시 강의를 수동적으로 듣고 이해하기보다는 강의에서 제공하는 간단한 퀴즈 등을 능동적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했던 점이 좋았다.
- Lacked (아쉬웠던 점)
- 한 번에 몰입을 이어나가는 시간이 아직까지 부족하다.
- Learned (배운 점)
- Longed for (앞으로 바라는 점)
- 가장 이상적인 건 내가 정해놓은 루틴 시간에 이론공부를 진행하는 것이다. 너무나도 당연하게 그 시간이 되면 당연히 그 공부를 하고 있는 내가 되고 싶다.
💡 5F (전체 회고)
-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 총 9시간 정도 공부했다. 아직도 편도가 너무 부어 있어서 공부하기가 조금 힘들다.
- Feeling (느낌: 무슨 느낌이 들었나?)
- 여러가지 이유로 자꾸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조급해지게 되는데,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느끼는 요즘, 최대한 내 페이스대로 꾸준하게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
- Finding (배운 점: 어떤 인사이트를 얻었나?)
- Future action (향후 행동: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 일단 몸을 빠르게 회복하자. 그게 우선인 것 같다.
- Feedback (피드백: 앞서 정한 향후 행동을 실천해본 뒤, 이에 대해 어떤 피드백을 받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