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_2023.03.27

이종현·2023년 3월 27일
0

Today_I_Learned

목록 보기
32/145
post-thumbnail

Today 요약

  1. HTTP 메서드 공부
  2. 프로젝트 이슈 해결하기

1. What I did?

1. 1 SPA_Router 프로젝트 이슈 해결하기

팀원이랑 같이 작업했던 라우팅을 이용한 SPA 웹페이지가 메인화면은 제대로 로드되지만 post 페이지를 하나씩 로드할 때 이미지 경로를 제대로 받아오지 못해 기존에 상대 경로로 지정했던 부분을 루트 경로부터 dist 폴더를 추가해보는 등 다양한 경로 수정으로 문제를 상대 경로로만 해결하려고 했다. 하지만 어느 순간 아이디어가 하나 떠올랐다. 보통 노션에 블로그 글을 작성하고 md파일로 내보내기 한 다음 velog에서 수정할 때, 이미지를 제대로 로드해오지 못해서 노션에 있는 이미지를 우클릭 한 다음 원본주소를 받아와서 velog에 등록해서 사용했었다. 그 순간 노션을 하나의 서버처럼 생각하고 노션에 이미지를 등록해 놓은 다음 그 원본주소를 이미지의 서버 주소로 받아오는 걸 해보려고 했다. 그러니까 상대주소를 사용해서 해결하려고 했던 걸 절대주소로 바꿔서 해결한 셈이다.

당장 간단하게 서버 구축하는 걸 알아보고 시도해보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니 일단 이런 편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2. What I Learned?

2.1 HTTP 메서드 (XMLHttpRequest, fetchAPI)

어제 공부했던 XMLHttpRequset에 대해 추가로 더 알아보고 메서드를 직접 사용해 보았다. 서버를 직접 구축하지 않는 이상, 기존에 있는 URI로는 보안상의 이유로 대부분의 메서드를 직접 사용해 볼 수는 없었다. GET, HEAD 정도만 사용가능했다. TRACE는 브라우저에서 보안상의 이유로 막는 것 같았고, PUT, POST, DELETE 메서드는 서버에서 요청 승인을 해줘야 하는 걸로 이해했다. 서버는 지금 당장 구축하기는 힘들거라 생각해서, fetchAPI까지 추가로 알아보고 오늘은 공부를 마무리했다. 내일은 REST API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고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책에 있는 간단한 JSONServer 구축해서 메서드를 직접 사용해보는 부분을 공부해볼 생각이다.

오늘 공부하고 정리해 본 내용이다.
https://velog.io/@dataliteracy/HTTP-%EB%A9%94%EC%84%9C%EB%93%9C-%EB%8F%99%EC%9E%91%ED%95%B4%EB%B3%B4%EA%B8%B0


회고(Retrospective)

KPT

💡 KPT (프로젝트 회고)

  • Keep (프로젝트에서 만족했고, 앞으로의 업무에서 지속하고 싶은 부분)
    • 프로젝트 진행 중에 발생하는 오류나 에러에 대해 포기하지 않고 계속 하다보면 처음에는 답답하지만 그래도 결국엔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것 같다. 이때 기록이 중요하다.
  • Problem (프로젝트에서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했거나 아쉬웠던 점)
    • 아직 오류 해결에 있어서 일이 잘 안 풀릴때 중간에 잠깐씩 딴 생각을 하게 된다.
  • Try (Problem에 대한 해결 방식으로 다음 프로젝트에서 시도해볼 점)
    • 정말 잘 안 풀리는 이슈에 대해서는 마인드 맵을 활용해서 현재 이슈의 상황에 맞는 구조도를 만들고 정확히 지금 해결하고 있는 부분이 이슈의 어느 지점인지 계속 확인하고 해결해나가는 방법을 활용해보려고 한다.

4L

💡 4L (이론 공부)

  • Liked (좋았던 점)
    • 메서드라는 하나의 챕터를 잡고 공부하되, 내가 궁금해하고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부분부터 찾아가며 하는 공부가 집중도 더 잘 되고 재미있는 것 같다.
  • Lacked (아쉬웠던 점)
    • 공부를 쭉 이어서 계속 하고 싶었지만 주어진 환경과 상황때문에 중간에 끊어야 했다.
  • Learned (배운 점)
  • Longed for (앞으로 바라는 점)
    • 당분간은 이런 방식으로 꾸준히 해보자. 아무리 시간이 없어도 하루 10분이여도 좋다.

5F

💡 5F (전체 회고)

  • Fact (사실: 무슨 일이 있었나?)
    • 5시간 정도 공부했고, 3시간 정도 프로젝트 문제 해결과 2시간 정도 이론 공부를 진행했다.
  • Feeling (느낌: 무슨 느낌이 들었나?)
    • 지금 하루에 최소 5시간 이상은 공부하고 있지만, 내가 원하는 루틴이 아니다. 몇일만에 내가 원하는 루틴을 꾸준히 실행하고 싶다는 마음은 아니지만 오늘보다는 아주 조금 더 나은 내일을 꾸준하게 만들어가고 싶은데 그러지 못하는 상황이 조금 답답하다.
  • Finding (배운 점: 어떤 인사이트를 얻었나?)
  • Future action (향후 행동: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
    • 막상 해야할일이 많다고 생각하니까, 어느 순간부터 계획 점검하는 30분 정도의 시간도 아깝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하루를 시작할 때, 오늘 전체적으로 할 일에 대해서 점검하고 상황에 맞춰 효율적인 배분을 하도록 하자.
  • Feedback (피드백: 앞서 정한 향후 행동을 실천해본 뒤, 이에 대해 어떤 피드백을 받았나?)
profile
데이터리터러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