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기억 공간 (LTM) : 기억하는 내용을 지식으로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공간 (ex : 언어의 문법 지식 등)단기 기억 공간 (STM) : 정보를 수집할 때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 ex: 코드 내의 변수 명이나 변수의 값)작업 기억 공간 : 사고나 추론할 때
챕터 2 : 대규모 데이터 처리 입문 메모리와 디스크 속도 차 메모리의 경우 탐색 속도가 디스크의 탐색 속도보다 10^5배 ~ 10^6배 차이난다. 디스크가 읽어들이는 원리 전송 속도, 버스 속도 차이 전송 속도에서도 디스크가 메모리보다 100배 이상 느리다.
라이브러리 캐시 : SQL 파싱, 최적화, 로우 소스 생성 과정을 거쳐 생성한 내부 프로시저를 반복 재사용할 수 있도록 캐싱해두는 메모리 공간소프트 파싱 : SQL 파싱을 할 때, 해당 SQL이 라이브러리 캐시에 존재한다면 곧바로 실행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소프트 파싱이
switch문은 본질적으로 한 가지 작업만 처리하기 힘든 구문이다.저자는 그래서 되도록 사용하지 말고, 다형적 객체를 생성하는 코드 안에서만 단 한 번 사용하라고 한다.인터페이스 코드. GoogleUserInfo,FaceBookUserInfo,GitHubUserInfo
전반적으로 나쁜 주석이 많은 코드다. 참고로 글의 코드들은 2022년 12월 ~ 4월까지 개인적으로 작업했던 프로젝트의 일부다. 먼저, 같은 이야기를 중복하는 주석이 많다. Javadocs를 활용해서 주석을 많이 작성했는데, 오히려 정신이 없다.코드 중 일부를 리팩토링
가독성이 제일 중요하다.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효율성이 제일 중요하다. 하지만 테스트 환경에서는 해당 사항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때는 효율적인 코드보다는 읽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자.잡다하고 세세한 사항으로 범벅된 코드를 좀 더 간결하고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