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및 세팅법
1. Framework 란?
- '뼈대나 근간'을 이루는 코드들의 묶음
- 프로그램의 기본 흐름이나 구조를 정하고, 이 구조에 자신의 코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의 기본 틀을 의미
- 개발에 필요한 구조가 제공되고, 여기에 필요한 부분을 조립하는 형태로 개발이 진행된다.
2. 라이브러리
- 자주 사용되는 로직을 재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잘 정리한 일련의 코드들의 집합
3. Framework vs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는 자동차의 프레임, 즉 기본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뼈대를 말한다.
- 라이브러리는 자동차의 기능을 하는 부품을 의미한다.
- 한 번 정해진 자동차의 프레임은 바꿀 수 없다.
- 소형차를 만들기 위해 뼈대를 사용하는데, 이 뼈대로 SUV를 만들수 없다.(Framework)
- 그러나 바퀴나, 선루프, 헤드라이트 등은 비교적 다른 종류로 쉽게 바뀔 수 있다.(라이브러리)
(어쨋거나 프레임워크도 결국 라이브러리의 집합)
4. Spring 이란?
-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이라고도 불린다.
-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5.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스프링 프로젝트 만드는 사이트 : https://start.spring.io/
5-1. Project
- 빌드 툴 : 프로젝트에 필요한 의존성을 관리하는 툴(우리가 라이브러리 넣을때 빌드패스 잡던거를 해줌), 과거에는 Maven, 최근에는 Gradle 추세이다.
- Maven : 버전까지 정확하게 지정해줘야함
- Gradle : 버전을 알아서 정해줌 가끔 지정해줘야함
세팅법
https://start.spring.io/ 사이트 들어간후

포트번호 설정방법
- src/main/resources -> application.resources 에서
server.port=9090
입력
한글 설정방법
-
help -> marketplace -> java and web 검색
eclipse enterprise java and web developer tools 3.29 다운 설치
중간에 뭐 나오면 체크박스 체크하고 진행한다음 업데이트 한다고 하면 업데이트 리스타트 자동으로 됨
-
application.resources 에서
spring.http.encoding.charset=UTF-8
spring.http.encoding.enabled=true
spring.http.encoding.force=true
입력
- 툴 한글설정
enc 해서 UTF-8로 한글 세팅
6. 스프링 시작점
- @SpringBootApplication : 스프링 부트의 자동설정 읽기와 생성이 모두 자동으로 설정된다.
7. Spring MVC
- @Controller : 해당 url mapping을 찾는 역할
- @GetMapping : url get 방식 요청 매핑
- 컨트롤러에서 리턴 값으로 문자를 반환하면 resources/templates/ + {viewName} +.html
(즉 viewName 부분을 String 타입으로 지정해주면 알아서 해줌)
(그 앞뒤로 있는 부분은 자동으로 디폴트값으로 들어가있는거임 안보임)
이걸 알아서 해주는게 -> 뷰 리졸버(viewResolver)
8. DispatcherServlet
- 스프링 MVC도 프론트 컨트롤러 패턴으로 구현되어 있다.
- 스프링 MVC의 프론트 컨트롤러가 바로 디스패처 서블릿이다.
- DispatcherServlet -> FrameworkServlet -> HttpServletBean -> HttpServlet
상속받는 순서 오른쪽이 최상위
9. ViewResolver
- 실행할 뷰를 찾는 일을 한다
- 페이지 컨트롤러가 리턴한 뷰 이름에 해당하는 뷰 객체를 매핑하는 역할
(forward 방식이 기본으로 되어있음)
10. Model
- Controller에서의 데이터를 Model에 담는다.
View는 Model에 담겨있는 데이터만 쏙쏙 골라서 화면에 바인딩해준다
- HashMap의 형태를 갖고있고, key와 value값을 저장한다.
- servlet에서 request.setAttribute()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11. ModelAndView
- model에서 view영역이 좀 더 확장
- model과 view를 동시에 설정이 가능하려면 컨트롤러는 ModelAndView객체만 리턴하지만 Model 과 View가 모두 리턴 가능
- addObject(key, value;)
팁
- 타임리프를 쓰는 이유
스프링부트 에서는 jsp를 권장하지 않고 순수 html만 사용하는 방법이 대세이다. (jsp 쓰는 방법도 사용가능)
그치만 순수 html만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타임리프를 사용한다.
- 리퀘스트 요청이 왔을때 제일먼저 데이터를 받는 부분이 Dispatcher Servlet 인데 이건 우리가 배웠던 프론트 컨트롤러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