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귀함수란 무엇일까 재귀함수는 자기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란 뜻으로 많이 쓰이는 알고리즘입니다. 일반적으로 반복되는 코드를 작성할때 반복문을 사용하지만 재귀함수를 사용하게되면 반복문을 사용할 때 보다 더 클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복문보다 느리다는
여러가지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인덱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print(list_a + list_b) 값이 출력이 되며, list_a가 변하지 않음비파괴적 : 원본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print(list_a.extend(list_b)) 값이 출력되지 않으며, lis
키를 기반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딕셔너리 내부 값에 문자열, 숫자, 불, 리스트, 딕셔너리 등 다양한 자료를 넣을 수 이 있음선언 형식내부 요소 접근법값 추가값 제거ex딕셔너리에 존재하지 않는 키에 접근하면 KeyError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부에 존재하는지 확인이 필요
역반복문 : 반복 변수가 큰 숫자에서 작은 숫자로 내려가는 것 방법 1 range()함수의 매개변수 이용 range(5,-1,-1) : 5부터 0까지 -1씩 감소 방법 2 reversed()함수 사용 [0, 1, 2, 3, 4]의 범위를 reversed()를 통
현재 index가 몇 번째인지 확인해야 하는 경우dictionary의 key와 value값을 모두 출력하고 싶을 때결론 : enumerate() 함수와 items() 함수를 이용하면 반복변수를 2개 사용할 수 있다.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윤인성 지음)
: 반복문을 이용하여 짧게 한 줄로 리스트 작성EXEX혼자 공부하는 파이썬 (윤인성 지음)
import pandas Object creation 1. Creating a Series list의 값으로 Series 생성 2. Creating a DataFrame Numpy를 사용하여 DataFrame 생성 dict of objects를 사용하여 Dat
Python에서 데이터를 시각화하다 보면 아래와 같이 한글 깨짐이 발생하게 된다.그래서 한글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2가지 방법으로 한글 폰트를 설정해 볼 것이다.⬇ (Matplotlib를 통해 그래프를 시각화하였을 때 발생한 한글 깨짐 현상)위의 방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튜플(tuple)은 리스트와 비슷한 자료형이며, 리스트와 다른 점은 한번 결정된 요소는 바꿀 수 없다는 것이다.위의 코드와 같이 튜플은 (,) 소괄호를 통해 선언 하며, 리스트와 같이 인덱싱, 슬라이딩 모두 가능 하다. 소괄호를 사용하여 요소를 넣은 변수를type()
람다(lambda) > 람다(lambda) : 함수의 기능을 매개변수로 전달하는 코드를 좀 더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 함수의 매개변수로 함수 전달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 : 함수의 매개변수에 사용하는 함수 call_r
파일은 바이너리 파일(binary file)과 텍스트 파일(text file)로 나누어서 다룬다. 바이너리 파일은 데이터의 저장과 처리를 목적으로 0과 1의 이진 형식으로 인코딩된 파일이며, 텍스트 파일은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문자열로 이루어진 파일이다.o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