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반복문
: 반복 변수가 큰 숫자에서 작은 숫자로 내려가는 것
for i in range(5,-1,-1):
print("i = {} ".format(i),end=' ')
# i = 5 i = 4 i = 3 i = 2 i = 1 i = 0
range(5,-1,-1)
: 5부터 0까지 -1씩 감소for i in reversed(range(5)):
print("i = {} ".format(i),end=' ')
# i = 4 i = 3 i = 2 i = 1 i = 0
reversed()
를 통해서 [4, 3, 2, 1, 0]로 뒤집기방법1을 사용하여 피라미드 구현
star = int(input("별 개수"))
for k in range(star):
for i in range(star-k,-1,-1):
print(end=' ')
for j in range(0,k*2+1):
print("*",end='')
print()
# 10 입력 시
*
***
*****
*******
*********
***********
*************
***************
*****************
*******************
방법2를 사용하여 피라미드 구현
star = int(input("별 개수"))
for k in range(star):
for i in reversed(range(star-k)):
print(end=' ')
for j in range(0,k*2+1):
print("*",end='')
print()
# 10 입력 시
*
***
*****
*******
*********
***********
*************
***************
*****************
*******************
구현 과정
1. 공백을 출력하는 반복문 (역반복문 이용) : 변수i
2. 별을 출력하는 반복문 : 변수j
3. 1,2,번을 감싸는 총 몇번 반복할 지 결정하는 반복문 : 변수 k
특징 : 변수 k가 증가할수록 i는 줄어들며 j는 증가하는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