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VERAGE(F3:F18)
""로 감싸주고 함수와는 &로 연결한다.


<일반식 / 논리식 구분>
일반식
필드명이 일치해야 한다.
식에 첫 행의 셀 주소가 없다.
and, or 사용 불가
와일드키 사용 o
논리식
필드명이 일치해서는 안된다.
식에 첫 행의 셀 주소가 포함 된다.
and, or 사용 가능
와일드키 사용 x
행 전체에 대해 적용된다.
항상 첫 번째 셀을 기준으로 설정

고급필터와의 차이점
고급필터는 내부적으로 아래 쪽으로 채우기 드래그 하는 원리
조건부 서식은 아래 및 옆으로도 채우기 드래그 하는 원리

시트 보호
통합 문서 보호
구조
창
수직 데이터를 비교
첫번째 열을 아래 방향으로 비교한다.

MATCH()는 열방향이건 행방향이건 상관없이 데이터를 찾음
위에서 VLOOKUP()으로 열방향을 찾았으니 여기서는 행방향을 찾는 역할




위와 같이 3개의 함수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 행 방향으로는 조건이 잘 지정되나, 열 방향으로는 잘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나의 열만을 지정하고 행 부분만 절대화를 시켜서 채우기를 이용해서 조건을 사용한다.
={MAX(($B$3:$B$18=$B41)*(I$3:I$18))}
최종
={INDEX($D$3:$D$18,MATCH(MAX(($B$3:$B$18=$B41)*(I$3:I$18)),($B$3:$B$18=$B41)*(I$3:I$18),0),1)}
배열 수식에서는 조건을 주어야하고 (중복되는 값이 있을 수 있기에)
나머지 상황에서는 조건을 줄 수 없다.

Visual Basic: alt + f11
<삽입> - 모듈로 모듈 추가 후, 작성해야 한다.




<열의 총 합계 해제>



<빈 셀에 특정 값 나오게 하기>


<피벗 테이블 이동>









추가하려는 부분을 필드를 포함하여 블록으로 잡은 후, ctrl + c 한 후,
차트에 대고 ctrl + v
또는 데이터 선택 이용





양수; 음수; 0; 문자열
서식 기호
#: 값(숫자)이 없으면 공백
0: 값(숫자)이 없어도 0이 출력
@: 문자 표현 서식 기호


개체명.Additem "국어"
개체명.Additem "영어"
개체명.Additem "수학"
개체명.Rowsource = "A1:A5"

YEAR(): 년도 추출
MONTH(): 월 추출
DAY(): 일 추출
HOUR(): 시각 추출
MINUTE(): 분 추출
SECOND(): 초 추출
엑셀
Mod(수, 2) = 1 : 홀수
Mod(수, 2 = 0 : 짝수
액세스
수 mod 2 = 1 : 홀수
수 mod 2 = 0 : 짝수





배열 수식에서 COUNT(), AVRAGE()와 같은 함수는 IF문과 무조건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배열 수식에서 개수를 셀 때만 예외적으로 범위를 1로 둘 수 있다.
={COUNT(IF($C$3:$C$32=M7,$G$3:$G$32))&"명"}
={COUNT(IF($C$3:$C$32=M7,1))&"명"}





스타일 적용은 셀 서식에서 설정할 수 없다.
셀 스타일 서식을 적용하라고 하는 경우 다음을 적용해야 한다.



범위 지정(필드 포함) 후, <추가> 버튼 클릭
첫 행, 왼쪽 열 박스 클릭












열 입력 셀에서, 왼쪽 표에서 이자율 클릭



[조건]# - 위치 지정"문자열"

RANGE("셀주소). : 지정된 셀 변경
TARGET. : 커서가 있는 곳 변경
CELLS. : 시트 전체 변경
FONT.NAME = "궁서체"
FONT.SIZE = "14"
FONT.BOLD = TRUE(FALSE)
FONT.ITALIC = TRUE(FALSE)


LEFT와 RIGHT 함수의 출력 값은 문자열이기에 value()로 감싸서 정수형태로 만들어 주거나 위와 같이 ""로 정수를 문자열 형태로 바꿔준다.


일반식은 필드명과 같게, 논리식(TRUE, FALSE)은 다르게
논리식은 첫번째 행의 셀만 지정하고, 값이 TRUE, FALSE로 나옴
일반식은 전체 행을 지정

<위의 월불입액 합쳐서 논리식으로 처리>



절대화 되는 것은 행인지 열인지 구분해서 절대화 되면 안되는 부분은 $ 지워주기
수식 여러개일 때는 and(), or()로 연결하기




기본 정렬: 내림차순
점수가 높은 사람이 순위가 높기 때문에 어떤 순위 이상인 사람은 <=




짝수와 홀수 페이지를 다르게 지정 체크
바닥글 편집 클릭






숫자 이외의 문자도 함께 센다.
데이터 함수는 조건을 걸 수 있다.


🛑 채우기가 없는 문제에 대해서는 절대화를 할 필요는 없다.


형식을 지정할 때 0, # 둘 다 사용 가능
값이 없을 때, #은 공백으로 표시
0은 0으로 표시




=IFERROR(AVERAGE(IF(($E$24:$E$46=I31)*($G$24:$G$46 >= 80), $F$24:$F$46)),"해당없음")


Select case 개체명
- Case "사과" (문자일 때)
- Case is >= 1 (숫자일 때)
- Case else (이것도 저것도 아닐 때)
End Select

FORMAT(값, "형식")
- 0: 값이 없어도 0 표시
- #: 값이 없으면 아무 표시 X










같은 필드에서는 and, or연산이 가능하지만, 다른 필터와의 비교는 불가능하다.

















미래가치에 있는 값의 식을 그대로 클릭해서 가져와야 한다.
















두 날짜 사이 차이를 구한다.
단, 1년을 360일로 처리
모든 달을 30일로 계산














ctrl + shift + enter



ROUND()


ROUND(N23, -1)
정수 자리까지 반올림
값이 없어지면 0처리 된다.



🛑 IF와 함께 사용해야만, 배열수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함수














각 필드에 각각 적용시켜야한다.

블록 설정을 하면 한 필드만 움직임 (연관된 값 이동 x)











범례를 통해서도 차트 수정이 가능하다













<첫번째 부분합>

<두번째 부분합>







<어떤 버튼을 눌렀는지를 저장하지 않을 경우>
Msgbox "나올 메시지", 단추 옵션, "제목"
<어떤 버튼을 눌렀는지를 저장할 경우>
변수 = Msgbox ("나올 메시지", 단추 옵션, "제목")
아이콘 유형







논리식에서 날짜를 표현하기 위해서 ""로 묶어준다.




""로 묶어줘야 한다.










<INT()와의 차이점>
음수일 때 드러난다.
정수형은 반올림 시키고, TRUNC는 올림, 내림 없이 그대로 소수점 자리만 잘라낸다.

-1이 나오고, INT는 -2가 나온다.




0: 소수점을 주지 말아라
1, 2 ~: 소수 첫째까지 나와라, 소수 둘째자리까지 나와라...
-1 ~ : 정수 자리 부분이 삭제된다.

<ROUND(), ROUNDUP(), ROUNDDOWN()>

=LARGE(IF(조건, 계산범위), 번호)
LARGE((조건1)*(계산범위), 번호)
조건이 and일 때는 (조건1) * (조건2)
조건이 or일 때는 (조건1) + (조건2)


#2017-08-20# or #2017-8-20# 이라고 입력하면 엔터를 치는 순간 알아서 #8/20/2017#이렇게 변경된다.










숫자 데이터의 경우에는 그룹을 블록하는 게 아니라, 아무거나 1개만 잡기
범위가 지정되어서 출제되었을 시, 자동에 체크는 해제하기
나누어 떨어지지 않을 시, 시작값을 기준으로 하고, 포함되지 않는 것들은 그룹화하지 않는다.








































()를 사용하지 않는다.









=AVERAGE(D4:G4) > 80
=G4>AVERAGE($G$4:$G$26)*70%













=AND(ABS(D13-E13)>=10, F13="A")






COUNT()를 이용할 때에는 전체의 범위가 어느 필드의 배열이든 상관이 없지만, SUM()의 경우에는 전체의 범위를 필드의 배열을 설정하면 합계가 나오게 되므로, 수를 셀 때에는 무조건 1을 넣어준다.

















조건 직접 입력


🛑첫행과 왼쪽열을 체크해줘야 필드값이 그대로 있음
<조건부 서식>
























🛑표시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된 값이 적용되기 때문에 등록만 할 경우에는 누르면 안된다!
이름 초기화

시나리오 삭제
버튼 클릭



![]





<입력행을 계산하는 방법>




🛑연산자와 연산자 사이를 꼭 띄워줘야 한다. (엑셀과는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