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 filterChain
의 동작을 더 명확히 공부하였다.hibernate-core jpa
와 spring data jpa
을 정리했다.이번 주차 시험을 진행하며
CS스터디를 하며
https://www.youtube.com/watch?v=B2mUJmX2V8U
'면접왕 이형'의 영상에서 취준 루틴을 다룬 내용이다.
루틴을 통해서 무언갈 성공적으로 경험한다면 관점이 바뀌고 심리,정서,안정감에 좋은 영향을 준다고 한다.
TIL과 WIL은 성장,기록,회고 등 많은 순기능이 있고
나에게는 루틴의 일부로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주는 효과도 있는 듯 하다.
페어와의 대화
security filterChain
의 인가/인증 순서를 잘못 이해한 부분을 찾을 수 있었다.ResponseEntity
는 HttpEntity
를 상속받는다. ResponseEntity
와 HttpEntity
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그 차이는 ResponseEntity
를 사용하는 이유일 것이다.HttpEntity
는 header와 body에 값을 할당하고 status는 set하는 것 같지 않다. 헤더도 바디도 아니면 status code는 어디서 할당되고 응답에서 받을 수 있을까?org.apache.tomcat.embed:~~core
의 jakarta.servlet.http
에서 볼 수 있는 것 같다.기술 매니저님과의 대화
core jpa
, spring data jpa
를 잘 공부해서 정리해두는게 좋다.cs스터디
LinkedHashSet
공부하고 정리해보자. 생각보다 좋은 성능을 내는 것 같다.루틴에 관한 내용은 'TIL/WIL'과도 밀접하고 특강 매니저님이 말한 "번아웃은 할 일이 다음으로 미뤄지면서 시작된다."는 말과도 연관된다고 생각한다.
무언갈 몰아붙이지 말고 차분하게 착실히 나아가자.
작성하신것처럼 TIL과 WIL은 성장,기록,회고 등 많은 순기능이 있고 이걸 루틴화 해놓으면 나중에 면접관님에게 할말이 상당히 많이 생기죠 남은 기간도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