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지시험 오답노트 & 내가 볼려고 만듬 🫶🏻
1. Spring에서 Model 이란?
데이터 전달용 객체로 데이터를 K : V 형식으로 담아서 전달한다 (key, value)
기본적으로 request scope지만 @SessionAttribute 어노테이션과 함께 사용 시 Session scope가 된다.
2. 커맨드객체 란?
@Autowired에 의해 필드값에 세팅하는 객체
DTO와 VO의 필드 값을 세팅한다.
3. @Autowired란?
의존성 주입(DI), 작성된 필드와 Bean으로 등록된 객체 중 타입이 일치하는 Bean을 해당 필드에 자동 주입 하는 어노테이션으로 객체를 직접 만들지 않고 Spring 컨테이너가 생성한걸 주입받는다.
4. 마이바티스에서 전달 받은 값을 SQL에 작성하는 방법 두가지와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변수명|필드명} - SQL에 값 대입시 양쪽에 아무것도 붙지 않음
#{변수명|필드명} - SQL에 값 대입 시 양쪽에 ""붙여서 대입
5. 패키지 명 : edu.kh.project.member.model.dto
클래스 명 : Member일 때 별칭으로 등록하는 코드를 mybatis-config.xml에 작성하는 코드를 완성하기
<typeAliases>
<typeAlias type="edu.kh.project.member.model.dto.Member" alias="Member"/>
</typeAliases>
6. Maven Repository를 이용하며 프로젝트에 사용할 OJDBC11(21.5.0.0) 라이브러리를 pom.xml에 추가할 코드를 작성하기
<dependencies>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com.oracle.database.jdbc/ojdbc11 -->
<dependency>
<groupId>com.oracle.database.jdbc</groupId>
<artifactId>ojdbc11</artifactId>
<version>21.5.0.0</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7. resultMap이란?
SELECT 조회 결과(ResultSet)컬럼명과 컬럼 값을 옮겨담을 DTO의 필드명이 같지 않을 때 이를 매핑시켜 SELECT시 자동으로 담기게 하는 역할
8. resultMap 속성에서 type과 id란?
type : 연결할 DTO(패키지명 + 클래스 또는 별칭)
id : 만들어진 resultMap을 지칭할 식별명(이름)
단어 정리를 깔끔하게 잘하셨네요!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