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towired

2022-06-16(Section2_Spring 핵심_DI)
시작하게 된 계기 및 다짐 😮이번 코드스테이츠의 백엔드 엔지니어링 개발자 부트캠프에 참여하게 되면서 현직개발자 분들의 빠른 성장을 위한 조언 중 자신만의 블로그를 이용하여 배운 것 들을 정리하는게 많은 도움이 된다 하여 시작하게 되었다.그 날 배웠던 것을 길지 않아도
컴포넌트 자동등록(어노테이션)
@Component와 하위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위 어노테이션(계층화 아키텍쳐 기반)@Controller : 프레젠테이션 영역@Service : 비지니스 영역@Repository : 데이터 영역Bean이 될 수 있는 모든 Component들을 자동으로 찾아 Bean Con
데브코스 W4D3
백엔드 데브 코스 중 중요한 개념을 정리하거나 과제 개발 일지를 정리한 공간입니다.Ioc 컨테이너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파일을 설정하고 관리할 빈에 대한 생성 메소드를 구현한다.1의 설정 파일을 이용한 ApplicationContext를 생성한다.getBean 메소드를

[Spring] 의존관계 자동 주입
수등으로 빈을 등록하지 않고 컴포넌트 스캔을 통해 빈을 등록하면 설정파일에서 의존관계를 주입해줄 수없기 때문에 의존관계를 주입해줄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이 때 사용되는 것이 의존관계 자동 주입이다.꼭 컴포넌트 스캔과 함께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수동으로 빈을

<Spring> 컴포넌트 스캔
이전까지 학습을 진행하며 작성한 코드들에선 스프링 빈을 등록하기 위해 자바코드의 @Bean이나 XML의 <bean> 등을 통해 설정 정보에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을 나열했다. 예제에선 몇 개 안됐지만, 등록해야 할 스프링 빈이 수십, 수백개가 되면 일일이 등록하기
[spring] 의존 관계 주입 시, 타입 중복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 TIL 시리즈에 작성된 글은 '매일 매일 학습한 지식 조각을 메모해 놓은 포스팅'입니다. 공유가 아닌 개인적인 학습 내용 기록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Spring 의존성 주입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시키는 방식 => spring이 알아서 객체를 주입해 줌모듈간의 결합도 낮춤. 유연성 높임.생성자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생성자 주입은 생성자 호출 시점에 1회 호출되는 것이 보장 됨 => 주입받은 객체

의존관계 자동 주입
이름 그대로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 관계를 주입 받는 방법이다.@Component가 붙어있는 클래스의 생성자에 @Autowired가 붙어 있는 메소드에 주입되는 것이다.특징생성자 호출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 한번 호출되고 더이상 호출이 안되니 수정,

컴포넌트 스캔 ( Component Scan )
컴포넌트 스캔 & 의존관계 자동 주입 > - 지금까지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는 자바 코드의 @Bean이나 XML의 bean 등을 통해서 설정 정보에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을 나열했다. 이렇게 등록해야 할 스프링 빈이 수십, 수백개가 되면 일일이 등록하기도 귀찮고,
어노테이션 기반 의존 자동 연결을 위한 설정
📌 1. XML 설정 @Autowired, @Resourc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려면, XML 설정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한다. 📌 2. 태그는 다수의 전처리기 빈을 설정해준다. 전처리기를 개별적으로 등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태그를 사용한다. 📌

<Spring> 의존 자동 주입
자동 주입 기능을 사용하면 Spring이 알아서 의존 객체를 찾아서 주입한다.의존을 주입할 대상에 @Autowired 애노테이션을 붙이기만 하면 된다.@Autowird를 붙이면 설정 클래스에서 의존을 주입하지 않아도 된다. 필드에 이 애노테이션이 붙어 있으면 스프링이

[Spring] Chapter 6. 컴포넌트 스캔
이 글은 김영한 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https://www.inflearn.com/스프링-핵심-원리-기본편/dashboard)을 수강하며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모든 출처는 해당 강의에 있습니다.지금까지는 자바 코드의 @Bean이나 XML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회원 컨트롤러가 회원서비스와 회원 리포지토리를 사용할 수 있게 의존관계를 준비하자.스프링을 시작할 때 스프링 컨테이너라는 통이 생기는데 거기에 @Controller 어노테이션이 있는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해서 넣어두고 관리를 해준다.Controller, Service,

스프링 핵심원리 (6)
Autowired로 주입할 Bean이 여러개있어 중복될 경우가 있다.이를 해결 하기 위해 @Qualifier, @Primary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빈 등록시 @Qualifier("이름")을 붙여주고, 생성자 필드 파라미터 앞에도 @Qualifier("이름")을 붙여주

스프링 핵심원리 (5)
의존성 주입방식에는 아래 3가지 방식이 주로 쓰인다. (1) 생성자 주입 (2) 수정자 주입(setter) (3) 필드 주입
.png)
DI(dependency Injection)
이번 장에서는 스프링에서 중요한 개념인 의존성 주입(DI)에 대해 알아보고,의존성을 주입하는 세가지 방법, 스프링 IoC 컨테이너, 빈의 의미와 등록방법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의존 관계 주입(Dependency Injection)이라고도 하며, 어떤 객체가 사용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