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를 다니며 휴가 중 SK C&C에 클라우드 엔지니어 공고가 뜬것을 보고 바로 지원서 작성을 하여 제출을 하였는데 어떨결에 서류 합격이 되었다.(약 1달 조금 넘게 걸림)발표가 난 뒤 1주일 뒤에 SKCT, 직무테스트, 코딩 테스트가 있었고 현재 엔지니어의 업무를 하
아래 예시에서 기호를 정확히 구분하여야 한다.(+)의 기호를 사용할 경우 문자 사이의 공백이 없으며, (,)의 기호를 사용할 경우 문자 사이의 공백이 생겨 출력시 공백이 같이 출력된다.sep구분자, 즉 분리하여 출력한다.큰따옴표와 작은 따옴표의 차이가 있을까?확인해본
python-range, for, while
set자료형의 특징 1. 순서를 가지지 않는다. 2.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3. 인덱싱이 되지 않기 때문에 set 자료형에 접근 방법 4. set:교집합 5. set:합집합 6. set:차집합 7. remove (set 원소 삭제) 8. add (set
리스트란?데이터를 묶어서 관리하기 위한 자료형리스트 특징시퀀스 데이터 타입이기 때문에 인덱스로 접근이 가능(set은 시퀀스 없음)리스트의 특정 요소의 값 수정 가능슬라이싱이 가능하다. 즉, 리스트를 불필요한 부분을 자르기 가능리스트 생성 방법리스트변수이름=원소1, 원소
리스트 이용 스택 구현리스트 특정 값 확인(in, not in)리스트 생성 range 이용list에서 set의 특징을 이용한 중복 제거
def함수를 정의하기 위해서 있는 키워드def 함수 유형입력 없고 반환도 없는 유형입력만 있는 유형반환값만 있는 유형(반환 값 : 로직을 돈 결과값을 함수 밖으로 보내주는것)입력, 반환값 둘 다 있는 유형
클래스 상속이란A의 클래스의 변수와 메소드를 그대로 상속받아 이용할 경우 상속이라고 합니다.변수와 메소드를 받아 사용하는 클래스를 자식 클래스이고, 변수와 메소드를 제공하는 클래스를 부모클래스라고 합니다.
추상 클래스란?내부에 구현되지 않은 메소드를 한가지 이상 가지고 있을 경우 추상클래스라 부른다.구현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자식 클래스에서 반드시 구현 해주어야 한다.추상 클래스를 사용하는 이유부모 클래스에서 꼭 만들었으면하는 메소드를 강제하기 위해서추상클래스를 사용하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소괄호를 이용하고, 값을 넣을 경우 ','의 표시를 해줘야 한다.값이 변하지 않는다내부의 값을 변경하거나 삭제 할 수 없다.(튜플 전체는 삭제 가능)값이 중복될 수 있다.값에 접근하는 방법튜플을 일정 부분 잘라서 새로운 튜플을 만들어 내는것a\[]진
딕셔너리란?키와 값이 하나의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는 자료형순서와 상관없이 키를 이용하여 바로 값으로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 타입사용법딕셔너리={키:값, 키n:값n....}주의점키 값에 list, set이 올 수 없다.키 값은 중복 될 수 없다.접근 방법딕셔너리키=값 >
문자열 만드는 4종류1\. (')이용2\. (")이용3\. (''')이용 // 싱글 따옴표 3개4\. (""")이용 // 큰 따옴표 3개
len()int형의 경우 사용이 안된다.문자의 길이를 확인할때 사용된다.문자열, 튜플, 리스트 Raw StringEscape문에 영향을 받지않고 그대로 표시출력할 문자열 앞에 r을 붙여 주어 사용Multi line한 줄이 너무 길어질때 \\ 를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이기
Bool 자료형논리형 자료형이며 참(True) 거짓(False)을 나타내는데 쓰인다
sorted(lambda, value, operator)
Join
Lambda-map, filter
pow(), sqrt(), math.pow(), math.sqrt()
올림함수, 내림함수,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factorial
map
말그대로 필터해주는 역할을 해준다iterator에 들어온 값들을 하나씩 function에 넣어 반환이 true값을 필터링 하여 다시 리스트로 만들어 주는 함수filter(function, iterator)function : 필터링을 적용시킬 함수iterator : 반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