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TextMarkup Language
What You See What You Get : 마크업언어가 아니라 보이는대로 끌어다가 웹 페이지를 만드는 것
<html lang=”ko”> 보기에는 크게 다르지 않지만 브라우저에서 인식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검색, 번역, 읽기 서비스 등<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viewport 컴퓨터는 모니터에 따라 적당히 넣으면 되는데 모바일 기기들은 화면 사이즈가 다양해서 화면크기에 따라 컨텐츠를 조절해야한다. user-scalable=no 유저가 화면 줌을 못하게 함<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익스플로러가 신버전이면 예전 홈페이지를 읽지 못하는 경우도 있음. 최신버전으로 읽으라는 문구. 익스플로러 때문에 생김.참고하기 좋은 사이트 : w3schools.com mdn.com(모질라재단에서 만듬, 보다 공신력있음)
<h1> 다음에는 <h2>)<br> vs. <p>
<br> : break
(엔터)<p> : paragraph
<b> vs. <strong>
<b> : bold
<strong>
예 스크린 리더가 강하게 발음
<i> vs. <em>
<i> : italic
<em> : emphasize
예 스크린 리더가 강하게 발음
<small>
<cite> : citation
<mark> :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정보 강조
예 검색 등 사용자의 행동과 연관 있는 단어<sup> : superscript (위첨자)
<sub> : subscript (아래첨자)
<s> : strike (취소선)
<blockquote> : 텍스트가 긴 인용문에 사용

<hr> 태그: 주제나 분위기의 전환 구분
<img> : image

alt 속성 : 정보 용도
스크린 리더가 읽어주는 값네트워크 오류, 컨텐츠 차단 죽은 링크 등의 상황 대처
width는 CSS로 대체 가능
다른 페이지나 같은 페이지의 어느 위치, 파일, 이메일 주소와 그 외 다른 URL로 연결할 수 있는 하이퍼링크 설정
<a> : anch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