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 POW

augusstt·2023년 10월 5일
0

BlockChain

목록 보기
4/5
post-thumbnail

지난 학기에 이어 이번 학기까지 블록체인 관련 수업을 수강하게 되어 관련 내용인 POS와 POW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이 두가지를 먼저 공부하기 전에 채굴이라는 단어에 대해 먼저 알아볼 필요가 있을것 같다.

1️⃣ 채굴 (Mining)

우선 채굴이란 암호화폐를 거래내역을 기록한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한 대가로 암호화폐를 얻는 행위를 말한다 라고 하는데 이 말만 보고선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와닿지 않는다.

조금 더 근본적으로 들어가서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부터 다시 생각해보자.

블록체인이란?

이용자들의 거래내역을 기록한 장부를 전체 참여자에게 복제하여 분산저장하는 기술.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하는 은행과 다르게 암호화폐는 중앙기관에서 개입하지 않고 참여자 전체의 합의로 신뢰성을 보증하는데 이것이 바로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 중 하나인 탈 중앙화이다.

탈 중앙화 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참여자가 일관성 있게 합의하는 규칙이 필요하다.
이 규칙을 바로 합의 알고리즘이라고 하고,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POW와 POS가 바로 합의 알고리즘의 한 종류들이다.

그렇다면 과연 채굴이란 무엇일까?

이 참여자들이 암호화폐를 거래한 모든 내역들은 암호화되어 장부에 기록되며, 이 장부는 각 참여자들이 보관하고 있다. 이 정보들은 블록 단위로 저장되며, 새로운 거래내역을 저장할때마다 블록이 생성되어 이전 블록과 연결된다.

이 새로운 블록을 만들고 검증하는 과정을 채굴이라고 한다.

2️⃣ POW

채굴이란 개념에 대하여 정리해봤으니 이제 POW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선 단어 그대로 해석하자면 Proof of Work의 약자로 작업 증명 방식을 뜻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은행에서는 우리의 거래 내역을 대신 기록해준다.
하지만 탈 중앙화되어 있는 블록체인에서는 은행이 하는 역할을 담당해줄 중앙기관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과정을 참여자 누구나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해당 작업을 수행한 사람에게 대가로 암호화폐를 지급한다.

채굴은 블록을 생성한 사람에게 대가로 암호화페를 지급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다수의 참여자가 채굴을 하려 할 것이다.
하지만 블록은 동시에 하나만 생성할수 있기에 다수가 생성을 원할 경우 매우 어려운 문제를 푼 사람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채굴의 난이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개인이 채굴을 하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업이나 전문업체에서 다수의 고성능 컴퓨터를 사용하여 채굴을 실시한다.이에 따라 많은 컴퓨팅 자원, 높은 수수료와 자원 낭비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3️⃣ POS

POW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방식이다.

Proof of Stake의 약자로 지분 증명 방식을 뜻한다

앞서 말한 POW의 단점을 보완하여 최소한의 암호화폐를 스테이킹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암호화폐를 스테이킹한 참여자가 많아질수록, 블록생성과 검증에 참여하는 인원이 많아지므로 자연스레 보안성과 안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POW에 비하여 적은 참가자로 운영되기 때문에 소수의 사람들에게 블록 생성권이 집중될수 있어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스테이킹이란 본인이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의 일정량을 해당 네트워크에 맡기는 것을 말한다.

profile
https://augusstt-note.gitbook.io/aug-note 로 블로그 이전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