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에서 만든 웹 사이트를 다른사람에게 보여주려면 그렇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면 컴퓨터를 24시간 구동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갖가지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사이트가 잘 되어서 트래픽이 조금만 몰려도 다운 될 수도 있다.
저번시간에 EC2 인스턴스를 생성한 것을 이용해 이번에는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과 주피터 노트북으로 조금 더 쉽게 사용하는 방법을 공부한다.다운받는 곳 :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
저번시간에는 AWS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시간에는 로컬에서 개발한 프로젝트를 AWS EC2로 옮겨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로컬 프로젝트를 보면 저 같은 경우에는 backend, frontend, database 이렇게 3분류로 나눠서 개발을 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Database를 구축해야한다. 2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번째로는 EC2에다가 직접 설치해서 관리하는 것이다. 두번째 방법은 RDS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두가지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 중에서 필자는 첫번째 방법으로 구축을 해보겠다.아마존 관계형 데
요근래 프론트엔드 블로그 글만 작성했었는데, 최근에 뭔가 시도해보고 있는 작업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간단한 서버가 필요한데 역시 만만하게 AWS EC2이죠. 근데 그냥 생성하면 재미가 없는거 같아서 요즘 자주보이는 Terraform을 사용해서 EC2를 생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