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실기(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화이트박스 테스트)
- 모듈의 원시 코드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원시 코드의 논리적인 모든 경로를 테스트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방법
- 기초 경로 검사 : 테스트 케이스 설계자가 절차적 설계의 논리적 복잡성을 측정할 수 있게 해주는 테스트 기법
- 제어 구조 검사
조건 검사 : 프로그램 모듈 내에 있는 논리적 조건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루프 검사 : 프로그램의 반복 구조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데이터 흐름 검사 : 프로그램에서 변수의 정의와 변수 사용의 위치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테스트 케이스 설계 기법
블랙박스 테스트)
- 소프트웨어가 수행할 특정 기능을 알기 위해서 각 기능이 완전히 작동되는 것을 입증하는 테스트(기능 테스트)
- 동치 분할 검사 : 입력 자료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고 검사하는 방법으로 동등 분할 기법이라고도 함
- 경계값 분석 : 입력 조건의 중간값보다 경계값에서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입력 조건의 경계값을 테스트 케이스로 선정하여 검사하는 기법(동치 분할 기법 보완)
- 원인-효과 그래프 검사 : 입력 데이터 간의 관계와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다음 효용성이 높은 테스트 케이스를 선정하여 검사하는 기법
- 오류 예측 검사 : 과거의 경험이나 확인자의 감각으로 테스트하는 기법
- 비교 검사 : 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동일한 테스트 자료를 제공하여 동일한 결과가 출력되는지 테스트하는 기법
단위 테스트)
- 코딩 직후 소프트웨어 설계의 최소 단위인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하는 것
- 구조 기반 테스트, 명세 기반 테스트
통합 테스트)
- 단위 테스트가 완료된 모듈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완성시키는 과정에서의 테스트
- 하향식 통합 테스트 : 스텁 사용
- 상향식 통합 테스트 : 클러스터로 결합하고 드라이버 작성
- 회귀테스트
- 빅뱅 통합 테스트(비점진적)
시스템 테스트)
-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서 완벽하게 수행되는가를 점검하는 테스트
인수 테스트)
-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테스트하는 방법(사용자가 직접 테스트)
- 사용자 인수 테스트, 운영상 인수 테스트, 계약 인수 테스트, 규정 인수 테스트, 알파 테스트(사용자가 개발자 앞에서), 베타 테스트(최종 사용자가 여러 명의 사용자 앞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