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 기사 실기(화면설계)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장치나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분)
- CLI : 명령과 출력이 텍스트 형태로 이뤄지는 인터페이스
- GUI : 아이콘이나 메뉴를 마우스로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그래픽 환경의 인터페이스
- NUI : 사용자의 말이나 행동으로 기기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원칙)
- 직관성 :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유효성 :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고 완벽하게 달성해야 함
- 학습성 :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어야 함
- 유연성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고 실수를 최소화해야 함
UI 설계 도구)
- 와이어프레임 : 기획 단계의 초기에 제작하는 것으로, 페이지에 대한 개략적인 레이아웃이나 UI요소 등에 대한 뼈대를 설계하는 단계
- 목업 : 디자인, 사용 방법 설명, 평가 등을 위해 와이어프레임보다 좀 더 실제 화면과 유사하게 만든 정적인 형태의 모형
- 스토리보드 : 와이어프레임에 콘텐츠에 대한 설명, 페이지 간 이동 흐름 등을 추가한 문서
- 프로토타입 : 와이어프레임이나 스토리보드 등에 인터랙션을 적용함으로써 실제 구현된 것처럼 테스트가 가능한 동적인 형태의 모형
- 유스케이스 : 사용자 측면에서의 요구사항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할 내용을 기술
프로토타이핑의 종류)
- 페이퍼 프로토타입 : 아날로그적인 방법으로, 스케치, 그림, 글 등을 이용하여 손으로 직접 작성하는 방법
장점 : 비용이 저렴함, 회의 중 대화하면서 생성이 가능, 즉시 변경이 가능, 고객이 과다한 기대를 하지 않음
단점 : 테스트하기에 부적당, 상호 관계가 많은 경우 나타내기 복잡, 여러 사람들에게 나눠주거나 공유하기 어려움
- 디지털 프로토타입 : 파워포인트, 아크로뱃, 비지오, 옴니그래플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작성하는 방법
장점 : 최종 제품과 비슷하게 테스트할 수 있음, 수정하기 쉬움, 재사용이 가능
단점 : 프로토타입을 작성할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알아야 함
프로토타입 리더)
- 프로토타입을 통해서 발생하는 이슈를 종류별로 취합하고 해결 방법을 제시하며 이것을 모두 정리해서 보고해야 하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