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는 0과 1로 되어있는 세계에 있다.우리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이 필요하다.이때 이 번역기를 컴파일러, 인터프리터라고 한다.코드가 실행되기 전 모두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한다.코드를
다음과 같은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하면 컴퓨터에서 무슨일이 벌어질까?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위 코드를 계산(평가)하려면 먼저 10,20,+라는 기호(리터럴과 연산자)의 의미를 알고 있어야 하며, 10 + 20이라는 식(표현식)의 의미도 해석(파싱)할 수 있어야 한다.의미
문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자 최소 실행 다누이다.문은 여러 토큰으로 구성된다. \- 토큰은 문법적 의미를 가지며 문법적으로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기본요소를 의미한다위 코드에서 const, sum, =, 1, +, 2, ; 는 모두 토큰이며 이것들의 집합이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할당 등을 수행해서 하나의 값을 만ㄷ르어준다. 이때 연산 대상을 피연산자라고한다. ->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한다.수학적 계산을 수항하고 불가능한 경우 NaN을 반환한다.피연산자 개수에 따라 이항 산술 연산자와
조건문 또는 반복문을 말한다.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로 묶은 것으로 코드블록 또는 블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코드 블록의 실행을 결정한다.자바스크립트에서는 두가지 조건문이 존재한다.if...else, switch조건식의 평가 결과가 true면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개발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것명시적 타입변환, 암묵적 타입 변환 모두 기존 원시 값을 직접 변경하는 것은 아니고 기존 원시 값을 이용해 다른 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