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트의 ip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
네트워크 안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dns, ip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일정 기간 임대를 하는 동적 주소 할당 프로토콜이다.
공유기는 통신사에서 부여하는 1개의 공인IP를 받아서 내부적으로 사용가능한 사설IP를 컴퓨터에 부여한다.
그래서 내 아이피검색이라고 인터넷에 검색하면 공인IP로 검색이 됨.
단순히 집에 하나의 피씨만을 연결한다고 했을때는 공유기가 필요없으며 통신사모뎀에서 바로 피씨로 연결하면됨. 이때 PC는 공인IP
하지만 보통은 여러개의 PC를 연결하기 때문에 보통의 랜공사현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통신사모뎀 또는 L2스위치 ->공유기->허브->PC
스위치: 허브의 확장된 개념으로 기본 기능은 허브와 동일하지만 전송 주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로 지정할 포트를 직접 전송,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기준으로 보내는 곳과 받는곳을 계산하여 1:1로 연결, 정보전달의 수단과 회선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입출력 사태를 감시하며, 전송로의 장애 발생시 현장상태에서 예비 상태로 전환한다.
공인IP: 공인기관(SK,KT,LG,헬로비전 등 통신사)에서 인증한 IP로 실제주소를 외부에 공개
0.0.0.0~127.255.255.255
128.0.0.0~191.255.255.255
192.0.0.0~233.255.255.255
224.0.0.0~239.255.255.255
240.0.0.0~255.255.255.255
사설IP: 가정 내 홈 네트워크 및 기업 내 인트라넷 등 내부망에서 쓰기위한 인터넷 숫자주소로 인터넷 공유기에 연결괸 디바이스의 IP주소, 외부에 공개되지 않아 외부에서 접근, 검색이 불가능함
10.0.0.0~10.255.255.255
172.16.0.0~172.31.255.255
192.168.0.0~192.168.255.255
참조링크:
IP주소
서브넷: IPv4는 클래스를 나누어 IP를 할당하는데, 일반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호스트의 수가 낭비될 수 있기 때문에 서브넷이 등장함
참고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