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HCP
DHCP를 알아보자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통신규약)'이다.IP 라우터는 인터페이스 및 호스트에 IP 주소를 할당해 줄 수 있다. 예전에는 각 PC마다 고정 IP 설정을 도입하여 사용 하거나, RFC 903에 정의된

네트워크 2계층 공격과 보안
DHCP Spoofing DHCP Spoofing은 공격자가 클라이언트의 DHCP 요청을 대기하고, 승인된 DHCP Response가 클라이언트에 전달되기 전에 Fake DHCP Response로 응답하는 공격 유형이다. Fake DHCP Response는 가끔 자

[WEB]간단정리
0.0.0.0~255.255.255.255Router(공유기): 컴퓨터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즉,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중계역할을 해주는 장치패킷의 위치를 추출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해당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장치로
라즈베리 파이에 할당된 동적 IP 알림받기
학교에서 라즈베리 파이를 들고 다니면서 프로젝트를 할 일이 생겼다. 매번 랜선을 들고다니기는 힘들어서 AP에 연결할 경우 IP를 슬랙으로 알려주도록 설정했다.

DHCP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은 호스트 IP 구성 관리를 단순화하는 IP 표준입니다.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표준에서는 DHCP 서버를 사용하여 IP 주소 및 관련된 기타 구성 세부 정보를 네
0502
-Tenant 임차인(사용자) ESXi 망도 설정편집 확인 -네트워크 어댑터1 = EXTERNAL (vSwitch0 포트그룹) -네트워크 어댑터 = INTERNAL (vSwitch1 포트그룹) -네트워크 어댑터1 = INTERNAL (vSwitch1 포트그룹)

[7] 4.11(월) 네트워크(host only ip , Nat ip, NatNetwork ip,DHCP와 브리지,포트포워드,스토리지와 마운트)
리눅스 명령어어제 diagrams.net에서 아키텍쳐를 구성(그림)할 수 있는 도구를 살펴보았음. 지난시간에 사용한 도구 외에 다른 도구가 있으면 사용해도 된다.여러가지 도구가 있지만 diagrams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걸 사용하면 좋다.네트워크는 리소스(예:

[home server] Router~DHCP기본개념 및 동작 원리
사실 라우터,ip,lan/wan 등의 개념들은 항상 공유기를 설치하거나, 스마트폰을 공유기 wifi에 연결할 때 이렇게 저렇게 들어보긴 했는데 명확히 정의할 수 없었던 것들이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는 동적으로 IP를 할당한다. DHCP의 동작은 사용자가 알 필요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IP를 host에 할당한다.

[네트워크] DHCP
DHCP 란?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HCP은 호스트 IP 구성 관리를 단순화하는 IP 표준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표준에서는 DHCP 서버를 사용하여 IP 주소 및 관련된 기타 구성 세부 정보를 네트
네트워크 스터디 2주차 - DNS 서버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은 TCP/IP 이다.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안에서는 Host 들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IP 주소를 사용한다.사람의 경우 이 IP주소를 일일히 기억하고 구분하기 힘들고, 숫자보다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편하기 때문에 도메인 이
DHCP 동작원리
내 PC에 할당하는 네트워크 정보(유무선 IP 환경에서 단말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등) 관리합니다.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사용합니다.DHCP 서버를 통해서 송신처인 자신의 IP를 할당하는

[Netwrok]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네트워크] DHCP / 전세계 네트워크로의 접근(NAT)
Dynamic Host Control Protocol로, 말 그대로 동적으로 호스트(IP)를 구성해주는 규격입니다. DHCP 서버를 사용하여 client의 네트워크 장치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방식이며, 요청에 의한 IP할당 및 불필요 시 회수하여 효율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