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110
99
1
1
210
105
1000
144
500
119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
let count = 0;
for (let i = 1; i <= input; i++) {
count++;
if (i == 99) {
break;
}
}
for (let i = 100; i <= input; i++) {
let strInput = i.toString().split('');
if (strInput[0] - strInput[1] == strInput[1] - strInput[2]) {
count++;
}
}
console.log(count);
이건 사실 함수형으로 문제를 풀었다기보다 반복문을 통해서 문제를 풀었다
등차수열은 연속하는 두 항의 차이가 모두 일정한 수열을 뜻한다.
여기서는 각 자리수가 등차수열을 이룰때라고 했으니 111, 123, 135 와 같은 숫자들을 얘기하는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그렇다면 1부터 99는 어떻게 처리해야할것이냐? 인데, 예제1을 보면
1부터 110까지 한수가 99개이므로 1부터 99까지 다 한수로 처리해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1부터 99는 무조건 한수이고, 어차피 입력값은 1000보다 작은 자연수인거니까 각 자릿수의 차가
서로 같다면 한수가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