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 O는 알고리즘의 실행 시간을 표현하는 표기법이다.Big O의 O는 Order의 줄임말인데, 입력 된 크기에 비례해서 해당 코드를 처리하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지 나타내는 용어이다.빅오 표기법은 최악의 경우의 실행 시간이 나타내는 것이므로, 평균 실행 시
선형 자료구조란 하나의 데이터 뒤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는 자료구조이다.데이터가 일렬로 (연속적으로, 순차적으로) 연결이 되어있다.예로 들어서 배열, 연결리스트(linked list), 스택, 큐, 덱(deque) 등이 있다. 비선형 자료구조란 하나의 데이터 뒤에 다른
이진 탐색이란 정렬 되어있는 데이터에서 탐색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찾고 싶은 타겟 데이터를 찾는 방식이다.시간복잡도는 O(logN)이다.위의 사진을 예로 들어서 12를 찾고 싶다고 가정해보자.이진탐색에서는 시작점과 끝점 총 2개의 탐색범위를 제공한다.index 0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