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캐스팅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코더가 되지 말자. 며칠 전 나의 사수님께서 남기신 엄청난 명언이다. 서버에서 받은 몇개의 데이터를 처리할 일이 있었는데, 해당 데이터를 Array에 넣어서 Contains로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했다.
Swift에서 메모리 효율적인 코딩 스타일을 나타내는 용어는 "Value Semantics"이라고 한다. 이는 값(value)의 복사(copy)를 최소화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이는 프로그래밍 패턴이다.
UILabel에 HTML 태그를 인식해서 적용하려면 NSAttributedString 타입을 사용한다.
지난 달 사내 개발자 세미나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 분이 Mixin 디자인 패턴을 소개를 해주셨다. Swift에서 Mixin과 동일한 방법론인 Traits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싱글톤 패턴은 개발자에게 정말 편리하게 코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디자인 패턴이다. 하지만 싱글톤 패턴을 남용한다면 앱 안에서의 가장 큰 휴먼 에러를 남길 수 있다.
지연 저장 프로퍼티 lazy 키워드를 정리했다. 지연 저장 프로퍼티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어느 상황에서 쓰는지 정확하게 알고 효율적으로 앱의 메모리를 관리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