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했나요?
피어 세션
어제 혼자서는 Optuna를 적용시키기 힘들것 같다 판단해 마음 아프지만 solution 코드를 열어 분석하였다. 그래도 코드를 보고나니 혼자 생각했으면 대회 기간 동안 많이 헤맸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코드를 보고도 optimization 과정에서 어떻게 objective를 실행시키고 study 변수들을 갱신하는 지 모르겠어서 공식 Reference의 API 문서와 Github에서 Optimize 위주로 코드를 분석해보았다. Optuna의 코드 또한 계속 계층 구조로 클래스를 파고 파고 들어가야 하는 방식이었고, 너무 모듈화가 잘 돼있어서 오히려 이해하기 어려웠다.
피어 세션 전에 혼자서 분석한 solution 코드에 대해 팀원들에게 공유하였다. 대부분 팀원은 일단 solution 코드를 돌려보고 있는 단계였고, 깊이 분석하려 한 사람은 없었기에 일단 깊은 구조보단 parameter를 tuning 하는 부분이 어딘지, 전체 모델의 흐름이 어떻게 되고 각 함수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나도 아직 다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니 팀원분들이 내 말을 듣고 다 이해하셨을 거라 생각하진 않지만 앞으로 학습을 돌리시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후엔 최종 프로젝트 관련해 얘기를 나눴다. 모델링을 담당하시는 용범님은 샘플 데이터셋을 만들고 계시고, 클라이언트 담당 분들은 java나 kotlin 중 뭘 써야할 지 찾아보고 계신 단계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