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대일 @ManyToOne
- 일대다 @oneToMany
- 일대일 @OneToOne
- 다대다 @ManyToMany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로 양쪽이 모두 관계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실상 연관관계 관리 포인트가 외래키 하나이다. 반면 엔티티는 두 객체 모두가 서로를 참조하고 있어 연관관계 관리 포인트가 2곳이 된다. 따라서 엔티티의 경우 두 관리 포인트 중 한 곳을 주인으로 선정하여 외래키를 관리하도록 하고, 나머지 한 곳은 조회만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연관관계의 주인은 mappedBy 속성을 사용하지 않고, 주인이 아니면 mappedBy 속성을 통해 주인의 필드값을 이름으로 입력받는다.
- 다대일: 단방향, 양방향
- 일대다: 단방향, 양방향
- 일대일: 주 테이블 단방향, 양방향
- 일대일: 대상 테이블 단방향, 양방향
- 다대다: 단방향, 양방향
@Entity
public class Member {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Team team;
}
Member.team
으로 팀 엔티티를 참조할 수 있지만 반대로 팀에서는 회원을 참조하는 필드가 없다.Member.team
)이 연관관계의 주인이고 점선(Team.member
)은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니다.@Entity
public class Member {
// ...
@ManyToOne // 연관관계의 주인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Team team;
public void setTeam(Team team) {
this.team = team;
// 무한 루프에 빠지지 않도록 체크
if (!team.getMembers().contains(this)) {
team.getMembers().add(this);
}
}
@Entity
public class Team {
@OneToMany(mappedBy = team)
private List<Member> members;
public void addMember(Member member) {
this.members.add(member);
if (member.getTeam() != this) { // 무한 루프에 빠지지 않도록 체크
member.setTeam(this);
}
}
일대다 관계는 다대일의 반대 방향이다. 일대다 관계는 엔티티를 하나 이상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바 컬렉션인 Collection, List, Set, Map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실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모델이다.
관계도를 보면, Team은 Member를 알고있지만 Member는 Team을 알고있지 않다. 객체를 설계하다 보면 일(1)쪽에서 다(N)를 알고 싶지만, 다(N)쪽에서는 일(1)을 알고 싶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일대다 단방향을 사용할 수 있다.(후에 언급되지만 그냥 양방향 매핑을 사용하는 편이 좋다.) 그림에서 Team에는 연관관계인 List members를 가지고 있지만 Member측에서는 Team과 관련된 정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에서 보듯이) DB상에서는 무조건 외래키는 Member(다, N)쪽에 들어가게 된다. Team에 들어간다는 사실 자체가 말이 안된다. (Member가 추가될때마다 Team 추가 되면서 1이 아니라 다(N)가 되어버린다.)
결과적으로, 테이블에서 Member에 있는 외래키를, 객체의 Team의 변수를 통해 통제해야 한다. 일대다 관계에서 외래키는 항상 다쪽 테이블에 있는데, 다쪽인 Member 엔티티에 외래키를 매핑할 참조 필드가 없어 이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Column(name = "USERNAME")
private String username;
...
}
@Entity
public class Team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TEAM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
주의
일대다 단방향 관계를 매핑할 때는
@JoinColumn
을 명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JPA는 연결 테이블을 중간에 두고 연관관계를 관리하는 조인 테이블 전략을 기본으로 사용해서 매핑한다.
public void testSave() {
Member member1 = new Member("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member2");
Team team1 = new Team("team1");
team1.getMembers().add(member1);
team1.getMembers().add(member2);
em.persist(member1); // INSERT-member1
em.persist(member2); // INSERT-member2
em.persist(team1); // INSERT-team1, UPDATE-member1.fk,
// UPDATE-member2.fk
transaction.commit();
}
최종적으로 실행되는 SQL문은 다음과 같다.
INSERT INTO MEMBER (MEMBER_ID, username) values (null, ?)
INSERT INTO MEMBER (MEMBER_ID, username) values (null, ?)
INSERT INTO TEAM (TEAM_ID, name) values (null, ?)
UPDATE MEMBER SET TEAM_ID=? WHERE MEMBER_ID=?
UPDATE MEMBER SET TEAM_ID=? WHERE MEMBER_ID=?
억지스럽게 설정을 해야 하긴 하지만, 일대다 양방향 매핑도 가능하다. 연관관계의 주인은 Team의 members(List<Member>
)로 설정하고, Member에서 Team team
으로 조회하는 것도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스펙상 되는게 아니고 야매로 된다.)
양방향 매핑에서 @OneToMany
는 연관관계의 주인이 될 수 없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상 일대다, 다대일 관계는 항상 다쪽에 외래키가 았다. 따라서 @OneToMany
, @ManyToOne
둘중에 연관관계의 주인은 항상 다 쪽인 @ManyToOne
을 사용한 곳이다. 이런 이유로 @ManyToOne
에는 mappedBy
속성이 없다.(즉 주인이 아닐 수 없다.)
(일쪽이 연관관계의 주인이면서) 일대다 양방향을 설정한다는 것은, 굳이 외래키를 갖고 있지 않은 테이블(Team)을 데이터 저장의 주체로 설정하고, 굳이 외래키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Member)쪽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을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 관점으로 생각했을 때, 직관적이지 않고 이해하기도 힘들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와 개발코드를 연결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RDBMS 패러다임과 객체지향적 개발의 패러다임 사이 간극 조절에 조금 더 객체 중심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라 보면 편할 것 같다. (근데 너무 복잡해서 실무에서는 그냥 사용 안하는듯)
Team.members
이다.Member.team
은 일기전용 필드로 조회만 가능하다.public class Member {
@ManyToOne
@JoinColumn(name ="TEAM_ID", insertable = false, updatable = false)
private Team team;
}
@JoinColumn(name ="TEAM_ID", insertable = false, updatable = false)
Member.team
과 Team.member
라는 두개의 연관관계 관리 포인트가 모두 디비와 연결되어 어떤 데이터가 저장될지 예측할 수 없는 곤란한 상황이 될 수 있다.public class Team {
@OneToMany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
📌 결론
쓰지마라. 그냥 다대일 양방향 써라.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e Long id;
private String userame;
@OneToOne
@JoinColumn(name = "LOCK_ID")
private Locker locker;
}
@Entity
public class Lock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ManyToOne
) 단방향 매핑과 유사하다. @OneToOne(mappedBy = "locker")
private Member member;
mappedBy
를 적용시켜 준다.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실무에서는 @ManyToMany
를 이용한 다대다 관계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연결 테이블을 추가해 일대다, 다대일 관걔로 풀어내는 것이 권장된다.
@ManyToMany
를 통한 다대다 관계 설정 시, JPA는 객체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간격을 해결하기 위해 (객체 입장에서는 보이지 않는) 연결테이블을 생성해 제공한다.@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ManyToMany
@JoinTable(name = "MEMBER_PRODUCT",
joinColumns = @JoinColumn(name = "MEMBER_ID"),
inverseJoinColumns = @JoinColumn(name = "PRODUCT_ID"))
private List<Product> products = new ArrayList<>();
...
}
@JoinTable.name
: 연결 테이블을 지정한다. 여기서는 MEMBER_PRODUCT 테이블을 선택했다.@JoinTable.joinColumns
: 현재 방향인 회원과 매핑할 조인 컬럼 정보를 지정한다. MEMBER_ID로 지정했다.@JoinTable.inverseJoinColumns
: 반대 방향인 상품과 매핑할 조인 컬럼 정보를 지정한다. PRODUCT_ID로 지정했다.@Entity
public class Product {
@Id @Column(name = "PRODUCT_ID")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
}
@MantyToMany
와 @JoinTable
을 사용해 연결 테이블을 바로 매핑했다.MEMBER_PRODUCT
) 엔티티 없이 매핑을 완료할 수 있다.public void save() {
Product productA = new Product();
productA.setId("productA");
productB.setName("상품A");
em.persist(productA);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Id("member1");
member1.setUsername("회원1");
member1.getProducts().add(productA) // 연관관계 설정
em.persist(member1);
}
INSERT INTO PRODUCT...
INSERT INTO MEMBER...
INSERT INTO MEMBER_PRODUCT...
public void find() {
Member member = em.find(Member.class, "member1");
List<Product> products = member.getProducts(); // 객체 그래프 탐색
for (Product product : products) {
System.out.println("product.name = " + product.getName());
}
}
member.getProducts()
를 통해 상품 이름을 출력하면 아래와 같은 SQL이 실행된다.SELECT * FROM MEMBER_PODUCT MP
INNER JOIN PRODUCT P ON MP.PRODUCT_ID = P.PRODUCT_ID
WHERE MP.MEMBER_ID = ?
@Entity
public class Product {
@Id
private String id;
@ManyToMany(mappedBy = "products")
private List<Member> members; // 역방향 추가
}
@ManyToMany
를 사용한다.mappedBy
를 설정해 연관관계의 주인을 지정한다.public void addProduct(Product product) {
...
products.add(product);
product.getMembers().add(this);
}
개발자가 연결 테이블을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JPA에서 직접 설정해주니, 다대다 설정을 통해 개발자는 객체에서 편하게 양쪽을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편리해보이는 다대다 매핑은 실무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보통 연결 테이블이 단순히 연결만 하고 끝나지 않기 때문이다.
당장 회원과 상품을 연결하는 이 테이블에서 상품 수량, 상품 날짜등의 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JPA에서 관리해주는 이 중간 테이블은 매핑정보만 삽입 가능하고 그 외 추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없다.
또 쿼리 측면으로도 어려움이 있다. 멤버와 프로덕트를 조회할 때마다 쿼리가 중간 테이블을 통해 조인이 되어 이루어져야 하는데, 개발자가 생각하지 못한 쿼리가 사용될 수 있다. 중간 테이블이 숨겨져 있어 이러한 어려움이 생긴다.
이처럼 다대다 매핑에는 실무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대신 연결 테이블용 엔티티를 추가하는 것을 권장한다. 즉, 연결 테이블을 엔티티로 승격시키는 것이다.
대신 기존에 @ManyToMany
였던 관계가 @OneToMany
와 @ManyToOne
이 된다.
지금까지는 기본키가 단순해서 기본키를 위한 객체를 사용하는 일이 없었지만 복합 키가 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복합 키를 사용하는 방법은 복잡하다. 단순히 컬럼 하나만 기본 키로 사용하는 것과 기뵤해서 식별자 클래스도 만드러야 하고 @IdClass
또는 @EmbeddedId
도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식별자 클래스에 equals
, hashCode
도 구현해야 한다. 대신, 복합키를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기본키를 통해 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package com.study.jpashop.domain;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Entity
public class Orders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ManyToOne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ManyToOne
@JoinColumn(name = "PRODUCT_ID")
private Product product;
private int count;
private int price;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Time;
}
@Entity
public class Member {
@Id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OneToMany(mappedBy = "member")
private List<Order> orders = new ArrayList<Order>();
...
}
@Entity
public class Product {
@Id @Column(name = "PRODUCT_ID")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
}
public void save() {
// 회원 저장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1.setId("member1");
member1.setUsername("회원1");
em.persist(member1);
// 상품 저장
Product product = new Product();
productA.setId("productA");
productA.setName("상품1");
em.persist(productA);
// 주문 저장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Member(member1); // 주문 회원 - 연관관계 설정
order.setProduct(productA); // 주문 상품 - 연관관계 설정
order.setOrderAmount(2); // 주문 수량
em.persist(order);
}
@OneToOne
@ManyToMany
@ManyToMany
는 제약: 필드 추가X, 엔티티 테이블 불일치@ManyToMany
사용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