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와 DHCP는 네트워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개념이며, NAT와 DHCP 기능을 가장 일반적으로 제공하는 장비이다.
하지만 라우터만의 고유 기능은 아니며, 서버나 방화벽, 게이트웨이 장비도 NAT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에서는 다음과 같은 환경이다.
NAT는 Private IP Address를 Public IP Address로 변환해주는 기술이다.
NAT 덕분에 여러 장치가 하나의 Public IP를 공유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Private IP ↔ Public IP 변환
IP 주소 절약
보안(방화벽 효과)
- 내부 PC A (192.168.0.10)가 인터넷 요청 → NAT 라우터가 Public IP로 변환 (ex. 203.0.113.5)
- 응답 NAT가 다시 Private IP로 매핑하여 전달
Static NAT - 고정 1:1 매핑
Dynamic NAT - 풀에서 IP를 할당
PAT (Port Address Translation) - 여러 장치가 하나의 Public IP를 포트 번호로 구분해 공유 (가장 일반적인 방식)
DHCP는 네트워크에 접속한 장치들에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어, 카페에서 wi-fi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IP Address, Gateway, DNS 등이 설정되는데, 이는 DHCP 서버가 모든 과정을 처리해준 덕분이다.
만일 DHCP가 없다면 (위 상황에서는 만일 라우터(공유기)에 DHCP 기능이 없었다면), 사용자가 IP 주소를 수동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IP 주소 할당
서브넷 마스크 제공
기본 게이트웨이 제공
DNS 서버 주소 제공
Discover
Offer
Request
ACK
→ 클라이언트는 일정 기간(리스 타임) 동안 IP를 사용하며 만료되면 갱신하거나 반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