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1 - HTML & Internet (Part 1)

HKTUOHA·2023년 11월 29일
0

생활코딩

목록 보기
1/3
post-thumbnail

📌내가 시작한 이유

막연히 알고리즘만 하지 말고, 내 목표를 정확히 하고, 파이썬으로 결과물을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에서 비롯해 유튜브 '생활코딩'의 영상으로 공부하기로 했다.
먼저 웹 수업을 추천하셨기에 따라가보려고 한다.
유튜브 생활코딩 : WEB1 - HTML & Internet

실습환경 준비

1. Visual Studio Code 설치

  •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생략

2. web 폴더 생성

  • 탐색기 → 폴더 열기 → 바탕화면 선택 → web 폴더 생성 후 열기

3. html 파일 생성

  • 새 파일 → 파일 이름.html 생성

4. html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 실행하기

첫번째 방법

  • html 파일을 주소창에 드래그 → Enter

두번째 방법

  • 파일 찾기 기능 이용
  • 브라우저에서 Windows는 ctrl+o Mac은 cmd+o → 파일 열기


기본문법 태그

  • 그대로 따라하지 않고 나만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내가 좋아하는 아이돌을 주제로 진행하려고 한다💙

1. 진하게 표시하기

  • <strong> ... </strong>

2. 밑줄 표시하기

  • 밑줄 = underline
  • <u> ... </u>

3. 태그란?

  • 앞에 있는 태그 : 열리는 태그
    뒤에 있는 태그 : 닫히는 태그
  • 닫히는 태그는 앞과 뒤를 구분하기 위해 /를 붙인다.
  • 옷에 붙어있는 태그를 비유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열리는 태그와 닫히는 태그 사이 내용의 특성을 설명해준다.
  • 태그와 같이 컴퓨터 언어는 일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혁명적인 변화

  • 가장 쉬운 것이 가장 중요한 것
  • 정의부터 보지 말고 어떤 것일지 먼저 추론해보는 것이 더 좋다.

    ex) h 태그를 쓰면 글씨가 두껍다, 줄바꿈이 된다 등등

<h1> ~ <h6>

  • h = headings, 제목

  • <h1> ... </h1> 부터 <h6> ... </h6> 까지는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

  • 7은 없다.

  • 코드에서 줄바꿈을 한다고 해도 <h> 제목 태그를 쓰지 않으면 줄바꿈이 되지 않는다.

  • <h> 제목 태그 예시


통계에 기반한 학습

  • 작은 것, 쉬운 것으로 수많은 것들을 만들 수 있다.
  • 큰 것, 어려운 것은 특수한 경우에 편리하지만, 응용이 쉽지 않다.

🤔끄적끄적

내가 공부할 때나 실행을 할 때 작은 것은 다 제쳐두고 바로 응용부터 하려고 해서 더 어렵고 힘들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작은 것부터 차근차근 쌓아보도록 노력하자!



줄바꿈 : br vs p

<br>

(이건 이미 velog에서 많이 써서 익숙해졌다)

  • 열리는 태그 <br>만 쓰면 되고, 코드 줄바꿈은 의미가 없으니 없애도 된다.
  • <br>를 많이 쓸수록 여백이 넓어진다.
  • <br>은 어디부터 어디까지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줄바꿈이라는 시각적인 의미만 있으므로 닫히는 태그는 필요없다.

<p>

  • p = paragraph
  • <p> ... </p>는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단락인지 나타내주는 태그

<br> vs <p>

  • 단락을 나눌 때 <br><p> 중에 더 좋은 선택은 <p>이다.
  • <br>은 그냥 줄바꿈일 뿐이지만, <p>는 어디가 단락인지 의미론적으로 표현해줄 수 있으므로 정보로서 더 가치가 있다.
  • 반면에 <br>는 여백을 원하는대로 만들 수 있지만, <p>는 벌어지는 여백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자유도가 떨어진다.
    - 이 부분은 CSS를 통해 훨씬 더 정교하게 제어 가능
    <p style="margin-top:40px;">

⭐ 가장 좋은 방법은 의미에 맞는 태그 사용!



html이 중요한 이유

이 부분은 영상으로 보는 걸 추천

profile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