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1) 클라우드의 영어 뜻대로 구름처럼, 우리가 알지 못하는 곳에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두고, 컴퓨터, 노트북 등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정보들을 웹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
-
장점
1) 유연한 인프라 관리
- 예전의 인프라 구축 시 어느정도의 규모인지 미리 예측하여 구축을 하였고, 이에 따라 비용이 발생하므로, 예측이 틀렸을 경우 틀린 규모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나,
클라우드서비스를 이용하면 서비스 규모에 따라 데브옵스담당자가 필요에 따른 인프라만 추가하여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예측이 틀릴 가능성이 없음
2) 신속한 인프라 도입
- 예전 인프라 구축 시 PC 등 관련 장비 도착하는데 최소 며칠~1주,2주 정도의 시간비용이 걸린 반면 클라우드 서비스는 가입 후 몇분내로 필요한 인프라 도입이 가능하여, 구축 및 개발시간을 단축
3) 간편한 글로벌 서비스
-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 해당 대륙이나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해야 서비스가 가능했으나, 클라우드 서비스자가 미리 전 세계의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였으므로, 기업은 해당 데이터센터를 이용하여 글로벌 서비스 확장 가능
4) 트래픽 이슈 대응
- 과거 서비스에 사용자가 몰려 트래픽이 폭주했을 경우 대응이 어렵거나 방법이 없었으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프라를 구축할 경우 트래픽이 폭주했을 때에도 오토스케일링이라는 기술을 통해 트래픽 증감에 대한 인프라 증가 처리를 알아서 해주므로, 인프라를 더욱 편하게 관리할 수 있음
※ 오토스케일링: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트래픽 증감에 따른 인프라를 자동으로 늘리고 줄이고 하는 기술
-
클라우드 운영형태 종류
1) 공용 클라우드
- 인터넷을 통해 서버 및 저장소와 같은 컴퓨팅 리소스를제공하는 타사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소유하고 운영하는 형태를 말하며, AWS, AZURE등이 있음
클라우드 사용에 필요한 하드웨어(데이터 센터, 서버 등), 소프트웨어 및 기타 지원 인프라를 클라우드 공급자가 소유 및 관리함
2) 사설 클라우드
- 단일 비즈니스 혹은 회사내에서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를 의미하며, 사설클라우드는 회사의 실제 온사이트 데이터센터내에 배치할 수 있으며, 서비스와 인프라가 개인 네트워크환경에서 유지 및 관리되는 클라우드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공용 클라우드와 사설 클라우드 사이 데이터와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는 기술로 함께 연결된 공용 클라우드와 사설 클라우드를 결합하는 구조를 의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공용, 사설 클라우드간에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비즈니스에서 더 높은 유연성과 개발 옵션을 제공하고, 기존 인프라와 보안, 규정 준수를 최적화 할 수 있음
-
서비스 유형
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된 공간(서버, 데이터베이스) 및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높은 수준의 유연성과 관리제어를 제공, 예) AWS EC2, S3
- 장점
- 사용자가 운용한 만큼의 리소스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 가능
-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인프라에 대한 책임을 맡아 긴급 이벤트 및 재해일 경우에도 필요한 기술을 계속 이용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개선
- 서버 유지 및 네트워크 보안, 하드웨어 관련 문제를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모두 맡으므로 신뢰성이 높음
-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자의 변화되는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많은 양의 리소스를 준비하고 제공해야되기 때문에 이에 더 빠른 확장을 제공
- 단점
- 운용한 만큼의 리소스만 비용을 지불하나, 모든 기능에 대해 항상 비용을 지불해야함
- 클라우드 서비스가 운영을 중단하거나 예상치 못한 해킹을 당했을 경우 기업은 타격을 입을 수 있음
2) PaaS(Platfirn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 서비스 개발을 할때 필요한 플랫폼 제공을 위한 서비스로서, 사용자는 PaaS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PaaS제공자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개발할 때 필요한 API를 제공해 좀 더 편하게 개발할 수 있게 지원 제공, 예) AWS LAMBDA, Azure
- 장점
-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비용만 지불할 수 있고, 요구사항이 변화하고 기업내 조직이 성장함에 따라 PaaS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음
- 모바일, 데스크탑, 태블릿 등의 개발을 위해 팀을 구성할 필요없이 모든 플랫폼에서 저장하고 실행할 수 있는 단일소프트웨어로 제공하므로서, 여러 플랫폼을 통합할 수 있음
- 단점
- PaaS가 제공하는 곳이 정전, 유지관리 문제 혹은 해킹 등으로 인해 해당 플랫폼의 액세스가 중단될 수 있음
3) SaaS(Software as a Service)
- 클라우드환경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든 서비스를 클라우드에서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를 PC에 설치하지 않아도 웹에서 소프트웨어를 빌려 쓸 수 있는 환경을 의미, 예) 드랍박스, 지메일,
- 장점
- 인프라부터 어플리케이션까지 전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때문에 사용자는 구축에 대한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
- 사용자가 필요한 용량만큼 살수 있고, 늘리는 방법도 쉬우며 다른 서비스와 연동도 쉽다는 점에서 확장성과 연동의 유연성을 가짐

이미지 출처: 와탭(https://www.whatap.io/ko/blog/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