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지난 8월에 있었던 DEVOCEAN YOUNG 전용 밋업의 내용과 느낀점을 공유해보도록 하겠다.
1. 요즘 PM의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
- 전창국님
프로젝트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
- 핵심 목표에 집중하자
- 과제별 일정은 중요하다
- 검증하고 확인하자
- 배웠는지 생각하자
계획 설정 중심의 프로젝트
- 주간 보고는 계획 중심: 실적 중심이 아닌 계획 세우기 중심으로 주간 미팅 진행
- 목표 세분화: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해 작은 목표로 분할을 하는 것부터
- 시스템 경영: PDCA(계획 -> 실행 -> 점검 -> 추가 조치 단계 지속적 추진)
목표 설정과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들
- 목표와 계획 수립
- 커뮤니케이션
- 협업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최고의 도구와 기술
- Confluence: 함께할 문서화 공간을 제공
- Jira: 요구사항 관리, 이슈 관리, 문제 해결
- GitLab: 소스&인프라 코드 저장소
협업 툴을 이용한 역할과 활용 방법
- 시작에 대한 리더십
- 목표 달성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
- 자율적인 업무 처리 지향
- 지속적인 피드백과 점검
2. 지극히 개인적인 취준기
- 김혜지님
코딩 테스트
- 빈출 개념 위주로 공부 (ex: 자료구조, 브루트포스, 그래프탐색, 이분탐색, 투포인터, 최단경로, DP 등)
- 공부한 개념 문제에 적용하기: 왜 그 개념을 적용하는게 적절한지 이해하기
기술 면접
- 기초 CS: 자료구조, 알고리즘,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디자인패턴, 아키텍처, 객체지향 등등
- 죽은 지식으로 두지 말 것: 공부한 것들을 개인 프로젝트에 적용
신입 개발자의 마인드셋
- 내가 찾아보는 것보다 물어보는게 빠르다
- 사고만 안 쳐도 신입 개발자 몫을 해내는 것: 주눅들지 않기
3. 폐쇄망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김수겸님
폐쇄망이란
- 폐쇄망: 망분리된 환경으로 외부 인터넷망과 분리, 차단된 업무망
- 망분리: 외부 인터넷망을 통한 불법적인 접근과 내부정보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업무망과 외부 인터넷망을 분리하는 망 차단조치를 말함
- 도입 배경: 개인정보 유출등의 사고에 의해 시작
망분리 방식
- 물리적 망분리: 통신망을 물리적으로 업무용과 인터넷용으로 분리하고 별도 PC 혹은 장비를 사용하는 방식
- 논리적 망분리: 통신망을 SW적으로 업무용과 인터넷용으로 분리하고 논리적으로 분리된 PC를 사용하는 방식
폐쇄망 여행자를 위한 안내
- 폐쇄망 환경에서 배포 시스템 만들기
- 폐쇄망 환경 사용자를 위한 테스트 서버 환경 프리셋을 제공
4. 지금도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 양유석님
취업을 준비하면서의 멘탈 관리
- 취업은 소개팅과 같더라: 서류의 경우 내가 정할 수 있는 것은 없으며, 면접의 경우 면접에서 배울 수 있음
- 인생은 길다 돌아가는 것에 두려워 할 필요는 없다
취업 이후
- 개발이 전부는 아니다
- 어쩔 수 없는 사회생활: 멘탈 관리에 힘쓰고,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자신만의 노하우를 만들어야 함
- 괴리감에 맞서라
- 모든 것을 알 수는 없다: 모르는 것을 아는 척은 피하자
-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이력서 업데이트, 포트폴리오 관리, 자기개발, 자존감 높이기, 나를 잘 어필하기
- 주의할 점: 회사와 자신을 동일시 여기지 말아라.
취업을 곧 준비하게 될 대학생으로서 유익한 정보들이 정말 많은 시간이었다. 8월 영밋업을 위해 귀한 시간내어 발표해주신 네 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