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LAN 정리

DevOps Engineer·2023년 11월 8일
0

오리뎅이님의 블로그의 글이 내 입장에서는 재밌게 잘 읽혀서 이해가 쉽게 되는 것 같다.

참고사이트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goduck2&logNo=220142854627&parentCategoryNo=&categoryNo=73&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menu

LAN 연결에 있어서 ARP는 꽃이다...!

ARP Request 패킷 - MAC Address 인지 - Ethernet Frame을 만들어 메세지를 보낼 수 있음

같은 LAN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L2 Switch(브로드캐스트 프레임) 구성되어 있으면 됨
다른 LAN과의 연결에 있어서 ARP Request로는 상대방 IP를 알 수 없기 때문에 Router Table이 있음

원리는 간단하게
ARP Request -> Router의 MAC address가 들어있는 패킷 수신 -> Router의 MAC address를 달고 패킷 송신 -> 다른 LAN으로 접근

hop은 IP 장비들 사이의 LAN의 숫자 즉 스위치로 연결된 장비들은 1hop
router에 연결된 장비들 숫자

#Window 환경에서
netstat -rn

route print

Destination Gateway GenMask(NetMask)
0.0.0.0 #네트워크 대상이 0.0.0.0인 경우 게이트웨이를 의미함

게이트 웨이는 다른 LAN으로 가기 위한 다른 라우터의 IP
직접 연결된 LAN은 연결됨 상태로 표시 됨

profile
madame의 Techblo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