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ers | #Lv1 "두 정수 사이의 합"

블로그 이사 완료·2022년 9월 18일
0
post-thumbnail

문제 설명

두 정수 a,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a = 3, b = 5인 경우, 3 + 4 + 5 =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


제한 조건

  • a와 b가 같은 경우는 둘 중 아무 수나 리턴하세요.
  • a와 b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 a와 b의 대소관계는 정해져있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abreturn
3512
333
5312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a, b) {
  var answer = 0;
  if (a <= b) {
    for (let i = a; i <= b; i++) {
      answer += i;
    }
  } else {
    for (let i = b; i <= a; i++) {
      answer += i;
    }
  }

  return answer;
}

다른 풀이

function adder(a, b) {
  var result = 0;

  return ((a + b) * (Math.abs(b - a) + 1)) / 2;
}
// 가우스의 공식 (등차수열)

Review

입력 받은 두 수(a,b) 사이에 있는 모든 합을 구하는 문제였다.

두 수의 대소관계가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두 가지 조건이 필요했다.

if문을 통해 a가 클때, 아닐때로 나누었고 초기 값 0의 answer 변수를 만들었다.

그리고 a의 값이 b에 도달 할 때 까지 그 사이의 값들을 answer 변수에 저장했다. 대소관계가 반대라면 b의 값이 a에 도달 할 때까지 실행 될 것이다. 그리고 그 값을 반환했다.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면 단 한줄로 끝낸 것을 볼 수 있다.

가우스 공식이라고도 불리는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하였다.

a와 b의 대소 관계를 모르기 때문에 Math.abs() 를 이용해 두 수의 차를 절대값으로 구해준다.

Math.abs() 메소드는 인수로 전달된 숫자의 절대값을 반환한다. 절대값은 반드시 0 또는 양수이다.

아래 링크에 등차수열의 합 공식에 대해 아주 상세한 풀이가 설명되어 있다.

참고 : 등차수열의 합, 등차수열의 합 공식


profile
https://kyledev.tistor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