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WAN 기술 비교 및 향후 전망
구분 | X.25 | 전용 회선 |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IP over DWDM |
---|
전송 속도 | 56/64Kbps | T1/E1 | T1/E1 | 155Mbps | 기가비트 수준 (Gbps) | 테라비트 수준 (Tbps) |
전송 매체 | 구리선 | 구리선 | 구리선, 광 | 구리선, 광 | 광 | 광 |
전송 지연 | 높음 | 적음 | 적음 | 극소 | 극소 | 극소 |
교환 단위 | 고정 길이 패킷 | 비트 스트림(Bit Stream) | 가변 길이 프레임 | 고정 길이 셀(Cell) | 라벨(Label) | 파장(Wavelength) |
접속 형태 | 패킷 연결 지향 | 고정 연결 | 연결 지향 | 연결 지향 | 연결 지향 | 고정 연결 |
제공 서비스 | 데이터 전송 | 데이터, 음성 | 데이터, 음성 | 멀티미디어 | 통합 및 고대역 서비스 | 고대역 광통신 서비스 |
1. 기술 비교 설명
1) X.25
- 초기 패킷 교환 방식으로 저속 전송에 사용.
- 고정된 길이의 패킷과 패킷 연결지향 방식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
- 제한점: 속도가 느리고 전송 지연이 큼.
2) 전용 회선(Leased Line)
- 송수신 간 고정 연결로 고속 전송이 가능하며 안정적.
- 주요 통신 네트워크에서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
- 제한점: 대역폭 효율이 낮고 비용이 높음.
3)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 X.25를 개선한 방식으로, 가변 길이의 프레임을 전송.
- 비용 효율적이며 데이터와 음성을 모두 지원.
- 제한점: 품질 보장이 어렵고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부적합.
4)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 고정 길이의 셀(Cell)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지원.
-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며 데이터, 음성, 비디오 전송에 적합.
- 제한점: 구현 및 유지 비용이 높음.
5)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라벨(Label)을 기반으로 한 빠르고 효율적인 패킷 전달.
- IP 기반 데이터, 음성,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지원.
- 네트워크 대역폭 최적화와 QoS 보장에 강점.
6) IP over DWDM
-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해 IP 데이터를 직접 광 네트워크(DWDM)에서 전송.
- 테라비트급 속도와 대역폭 활용 극대화 가능.
- 고비용 초기 투자가 필요하나, 차세대 고속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
2. WAN 기술의 향후 전망
1) 전송 속도의 진화
- 테라비트급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IP over DWDM과 같은 광 기반 기술이 중심이 될 것.
- 5G 및 6G 네트워크와 통합되며 초저지연, 초고속 네트워크 구현.
2) 네트워크 단순화
- MPLS와 IP over DWDM처럼 중간 계층을 생략한 네트워크 구조가 더 확산될 전망.
- 네트워크 운영 비용 감소와 효율성 증대.
3)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 확대
- 음성, 데이터, 영상 등 모든 형태의 통신 서비스를 통합 제공.
- IoT, 스마트 시티,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필수 기술로 자리 잡음.
4)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와의 결합
- MPLS 및 IP over DWDM이 SDN 기술과 통합되어 네트워크 자동화 및 유연성 증가.
5) 에너지 효율 강화
-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친환경 네트워크 기술 개발.
3. 요약
- X.25와 프레임 릴레이는 초기 데이터 전송 기술로 속도와 효율에서 제한적입니다.
- ATM과 MPLS는 QoS 보장과 멀티미디어 통합 서비스에 강점을 가지며, 현재도 많이 사용.
- IP over DWDM은 차세대 고속 광통신 기술로, 테라비트급 전송 속도와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 향후 WAN 기술은 속도, 안정성, 서비스 통합, 그리고 친환경성 중심으로 발전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