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YouTube)는 주로 HLS(HTTP Live Streaming) 및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를 사용하며,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1. 유튜브의 주요 스트리밍 기술
① HLS (HTTP Live Streaming)
- 애플(Apple)에서 개발한 스트리밍 기술로, 유튜브는 iOS, macOS, Apple TV 등의 기기에서 HLS를 지원
- HTTP 기반 전송이므로 방화벽 문제 없이 모든 네트워크에서 작동
- 적응형 비트레이트(Adaptive Bitrate) 스트리밍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화질 자동 조절
.m3u8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사용하여 스트리밍 관리
②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 MPEG 표준(MPEG-DASH) 기반 스트리밍으로, 유튜브의 주력 스트리밍 방식
- HLS와 마찬가지로 적응형 비트레이트(ABR) 스트리밍 지원
.mpd
플레이리스트 파일을 사용하여 재생 관리
- 다양한 코덱(AV1, VP9, H.264 등)을 활용하여 고효율 전송
③ WebRTC (Real-Time Communication) [실시간 스트리밍용]
-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YouTube Live)에서 사용
- 초저지연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기술 → 웹캠, 게임 스트리밍 등에 사용
2. 유튜브가 RTSP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는 주로 CCTV, IP 카메라, 실시간 방송(예: 보안 카메라, 기업 스트리밍 서버) 등에 사용되며, 유튜브 같은 대규모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유튜브에서 RTSP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 방화벽 문제 → RTSP는 전용 포트(554)를 사용해야 해서 네트워크 제한이 많음
- CDN(Content Delivery Network)과 호환성 부족 → HTTP 기반 HLS/DASH가 CDN과 더 잘 맞음
- 대규모 사용자 지원 → RTSP는 단일 서버-클라이언트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수백만 명이 동시 시청하는 유튜브에는 부적합
3. 결론: 유튜브는 HLS + DASH 사용!
- 유튜브 VOD(일반 동영상) → DASH + HLS
-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 WebRTC + HLS
- RTSP는 사용하지 않음 → 대신 HTTP 기반 기술(HLS/DASH)로 대체
즉, 유튜브는 RTSP가 아닌, HLS와 DASH를 사용하여 스트리밍을 제공한다!